고려 초조대장경의 연구과제

이 논문은 현재 <고려대장경연구소>가 수행하고 있는 “초조대장경 DB 구축 및 조사 연구”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고려 초조대장경의 성립 및 간행 배경 등과 그 入藏 內容에 관하여 주제서지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여, 현재 학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제시하고, 향후 규명하여야 할 과제 등을 논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초조대장경 조조의 배경 및 동기는 거란의 침입에 맞서서 佛法을 숭봉하고 국가를 수호하고자 하는 데 있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초조대장경의 주제서지적 연구과제로써, ① 초조대장경의 조조 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서지학연구, 0(32) pp. 35 - 60
Main Author 김성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서지학회 01.12.200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이 논문은 현재 <고려대장경연구소>가 수행하고 있는 “초조대장경 DB 구축 및 조사 연구”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고려 초조대장경의 성립 및 간행 배경 등과 그 入藏 內容에 관하여 주제서지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여, 현재 학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제시하고, 향후 규명하여야 할 과제 등을 논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초조대장경 조조의 배경 및 동기는 거란의 침입에 맞서서 佛法을 숭봉하고 국가를 수호하고자 하는 데 있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초조대장경의 주제서지적 연구과제로써, ① 초조대장경의 조조 단계, ② ‘國前本’과 ‘國後本’의 규명 문제, ③ 초조대장경과 재조대장경의 함차의 차이 및 각 경전 권수의 異同 문제, ④ 초조대장목록의 복원과 관련 한 문제, ⑤ 변상도의 차이 및 변화 문제, 등이 있음을 제시하였고, 앞으로 <초조대장경의 디지털 DB구축 및 조사연구> 프로젝트에서 장기적으로 해결하여야 할 문제점의 현황과 그 해결 가능성을 검토하여 보았다. 그 결과, 각 초조대장경의 실물을 실제로 조사하는 과정에서 그 세부 각 경전의 函次數 및 卷數 등에 입각하여 초조대장경의 목록인 ‘초조대장목록’을 嚴正하게 복원하면서 위의 문제들을 각각 규명하여야 할 주요과제가 남아 있음을 논술하였다. This research discusses the current issues and controversial topics on the production of <Chojo-Taejanggyong(初雕大藏經)> published in the Koryo Dynasty, analyzes their contents, context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using the subject bibliographical approach, and also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These topics have been identified while conducting the project of building a database of of which the Research Institute of Tripitaka Koreana is in charg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it is confirmed that the purpose of producing was to enhance Buddhism and protect the country from the invasion of the Kitan during the Koryo Dynasty. Also examined are the current issues which should be discussed and addressed through the long-term research in this projectSecond, it is suggested that the issues such as ① the process of engraving and producing , ②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t editions and versions, that is, ‘Kukjeong-bon’ and ‘Kukhu-bon’, ③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volumes and the order of tables of contents of <Chojo- Taejanggyong> and <Chaejo-Taejanggyong(再雕大藏經)>, ④ the restoration of the bibliography of and ⑤ the variances in illustrations accompanied in different editions should be all systematically investigated and discussed. Also some topics to be further researched and resolved during this project have also been identified.A thorough examination of different editions and versions of <Chojo- Taejangyong> leads to the need for restoring <Chojo-TaejangMongnok(初雕大藏目錄)> which is the bibliography of , based on the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volumes of each scripture, and further delving into the above mentioned issues. KCI Citation Count: 6
Bibliography:G704-000060.2005..32.005
ISSN:1225-5246
2671-8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