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관동맥 증후군에서 혈중 Hydroxyproline측정의임상적 의의

배경 및 목적: 국소 죽상 경화반의 파열 및 급성 심근경색 시 좌심실 재형성 과정 시 혈중 hydroxyproline치의 증가로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급성 관동맥 증후군에서 혈중 hydroxyproline치의 관동맥 질환에 따른 진단적 유용성을 평가하고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좌심실 재형성 시 좌심실 변화 양상에 따른 혈중 hydroxyproline치의 변화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연구 대상은 정상 대조군(n=12), 안정형 협심증 환자(n=15), 불완전형 협심증(n=15), 급성 심근경색(n...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circulation journal pp. 1148 - 1157
Main Authors 유병수, 윤정한, 김우재, 정현숙, 안민수, 이경훈, 김장영, 이승환, 고지연, 황성오, 정영호, 최경훈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심장학회 01.12.200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5520
1738-555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배경 및 목적: 국소 죽상 경화반의 파열 및 급성 심근경색 시 좌심실 재형성 과정 시 혈중 hydroxyproline치의 증가로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급성 관동맥 증후군에서 혈중 hydroxyproline치의 관동맥 질환에 따른 진단적 유용성을 평가하고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좌심실 재형성 시 좌심실 변화 양상에 따른 혈중 hydroxyproline치의 변화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연구 대상은 정상 대조군(n=12), 안정형 협심증 환자(n=15), 불완전형 협심증(n=15), 급성 심근경색(n=122)으로 나누었다. 모든 환자에서 CK-MB, CRP, fibrinogen, troponin-I, myoglobin을 측정하였고 급성 심근경색증인 경우 내원 시, 14일, 28일, 90일에 채취하였다. 검체 시료의 hydroxyproline 치는 amino acid analysis system(HPLC:Pico-Tag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내원 당시의 심초음파 소견과 추적시의 심초음파 소견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급성 심근경색증의 환자에서 Thrombolysis In Myocardial Infarction flow(TIMI flow)를 측정하였고, TIMI 0-1인 환자군을 I군으로, TIMI II-III인 환자 군을 II군으로 나누었다. 결 과: 각 환자 군에서의 혈중 hydroxyproline치는 대조군 2.35±0.92, 안정형 협심증 2.22±1.29, 불안전형 협심증 2.92±1.21, 급성 심근경색증 6.49±3.77 μg/L로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 군과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소견을 나타내었다(p<0.05).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혈중 hydroxyproline치는 내원 당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초기 7일 이내에 시행한 혈중 hydroxyproline치는 I군(7.63±1.23)에 비해 II군(5.26±2.75 μg/L)에서 유의하게 작았다(p=0.032). 측정된 2주째 혈중 hydroxyproline치와 좌심실 재형성 인자와의 회귀 선형 분석 결과 만성기 좌심실 구혈률과 유의한 상관 관계(r=-0.414, p=0.037) 가 있었으나 그 외의 시기에 측정된 혈중 hydroxyproline 치와 다른 요소와의 관계는 유의한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p>0.05). 결 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환자 군에서 임상 양태에 따른 혈중 hydroxyproline치를 관찰하여 급성 관동맥 증후군에서 혈중 hydroxyproline치의 증가를 확인하였고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좌심실 재형성 초기에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serum hydroxyproline level (SHL) has been regarded as evidence of collagen breakdown or extra-cellular matrix reorganization. The role of SHL as a diagnostic parameter in acute coronary syndrome, and the SHL changes depending on the left ventricular remodeling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was evaluated. Subjects and Methods:Venous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rom 122 patients with AMI at the time of admission, and on days 7, 21 and 90, and once from 15 patients with stable angina, 15 with unstable angina and 12 healthy subjects. The SHL was measured using the amino acid analysis system (HPLC). The regional wall motion index (RWMI), LVEF and LV dimensions were determined in the early (<1 week) and chronic (3 months) phases using echocardiography. Based on the final angiogram, patients were allocated to the reperfusion (TIMI II-III;n=103) or non-reperfusion (TIMI 0-I;n=19) groups. Results: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HL among patients with AMI (6.49±3.77 μg/L), unstable angina (2.92±1.81 μg/L), stable angina (2.22±1.29 μg/L) and the normal control groups (2.35±0.92 μg/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HL between the reperfusion and non-reperfusion groups on admission (p>0.05).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elevation in the SHL 14 day after AMI in the patients of the non-reperfusion group (4.36±1.46, 7.63±2.69 μg/L, p=0.032). After 2 week,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HL.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at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and the SHL (r=-0.414, p=0.037), but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factors and the SHL (p>0.05). Conclusion:The serum hydroxyproline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which reflect the early change in left ventricular remodeling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708.2004.34.12.005
ISSN:1738-5520
1738-5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