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Full texts from electronic resources are only available from the university network. You are currently outside this network. Please log in to access full texts
돼지 관상동맥 스텐트 재협착 모델에서 Cobalt Alloy와 Stainless Stainless Steel Core® Stent의 비교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스텐트의 재협착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스텐트의 구성 물질(material composition), 두께(thickness)이다. Cobalt alloy 소재는 스텐트의 두께를 줄이면서radial force를 유지할 수 있어 스텐트의 내막 증식에 의한재협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된 60 μm두께의 cobalt alloy Core?? 스텐트와 90μm두께의 316 L stainless steel Core?? 스텐트가 돼지 관상동맥의 스텐트 재협착 모델에서 내막증식 억제 효...
Saved in:
Published in | Korean circulation journal pp. 507 - 512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심장학회
01.07.200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5520 1738-5555 |
Cover
Summary: |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스텐트의 재협착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스텐트의 구성 물질(material composition), 두께(thickness)이다. Cobalt alloy 소재는 스텐트의 두께를 줄이면서radial force를 유지할 수 있어 스텐트의 내막 증식에 의한재협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된 60 μm두께의 cobalt alloy Core?? 스텐트와 90μm두께의 316 L stainless steel Core?? 스텐트가 돼지 관상동맥의 스텐트 재협착 모델에서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방 법:스텐트를 각각 12개씩 돼지 관상동맥 혈관(좌전 하행 지 및우 관상동맥)에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관상동맥 손상 4주 후에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고, 돼지를 희생시킨 후 관상동맥 표본의 조직 병리학적인 특징을 관찰하였다.
결 과: 24개의 스텐트를 성공적으로 삽입하였고, 4주 후의 추적 관찰에서 사망한 돼지는 없었다. 4주 후 희생 전 관상동맥 조영술에서의 최소 혈관 내경은 Co-alloy군이 1.8±0.8 mm와 SS군이 2.7±0.8 mm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9). Injury score는 Co-alloy군은 1.14±0.14이고 SS군은 1.19±0.31로 양군의 혈관 손상의 차이는 없었다(p=0.688). 내막 면적은 Co-alloy군 0.89±0.25 mm2, SS stent군 1.96±0.68 mm2로 Co-alloy군이 유의하게 적었다(p<0.001). Intima to media ratio는 Co-alloy군 0.69±0.29, SS군 1.33±0.46로 Co-alloy군이 유의하게 적었다(p=0.003).
결 론:돼지 관상동맥 스텐트 재협착 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 60μm두께의 cobalt alloy Core?? 스텐트가 기존의 316L stainless steel Core?? 스텐트보다 유의한 내막의 증식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The stent material and thickness may influence the rate of restenosis following coronaryartery stenting. A thin strut cobalt-alloy stent has been developed in an attempt to reduce the restenosisrate, while maintaining the radiopacity and radial streng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 stainlesssteel Core?? stent (thickness: 90 μm/HUMED Co. Ltd, Korea) with that of a cobalt alloy Core?? stent (thickness:60 μm/HUMED Co. Ltd, Korea) in a porcine coronary stent restenosis model. Materials and Methods:The cobaltalloy (Co-alloy) and stainless steel (SS) stents were implanted in 24 porcine coronary arteries. Four weeks afterstenting, the pigs were sacrificed after quantitative coronary angiography (QCA). The coronary arteries were perfusion-fixed and stained, and a pathological examination performed by computer-aided histomorphometry. Results:The minimal luminal diameter at 4 weeks was larger in the Co-alloy than the SS group according to the QCA(1.8±0.8 mm vs. 2.7±0.8 mm, p=0.019). The neointimal area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Co-alloy thanthe SS group (1.96±0.68 mm2 vs. 0.89±0.27 mm2, p<0.001). The intima/media area ratio was significant lowerin the Co-alloy than the SS group (1.33±0.46 vs. 0.69±0.21, p=0.003). Conclusion:The thin strut cobalt alloyCore?? stent significantly reduces the neointimal formation compared to the stainless steel Core?? stent in a porcinecoronary stent injury model.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708.2005.35.7.006 |
ISSN: | 1738-5520 1738-55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