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상동맥경화에 의한 질환이 없는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고감도 C-반응단백질 농도에 대한 Hydroxymethyl Glutaryl Coenzyme A 환원효소 억제제의 효과

배경 및 목적: 염증반응의 대표적인 지표인 C-reactive protein (CRP)의 농도는 향후 심혈관계질환이 발생할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된다. Hydroxymethyl 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억제제(스타틴)는 심혈관계질환의 발생이나 재발을 억제한다. 이전 연구에서 스타틴은 CRP 농도를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변화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지질의 변화와 연관성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동맥질환 등과 같이 죽상동맥경화에 의한 질환이 없으면서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스타틴의 CR...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circulation journal pp. 381 - 387
Main Authors 정갑성, 이경은, 이성호, 김성진, 이광제, 김상욱, 김태호, 고홍숙, 김치정, 류왕성, 박애자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English
Published 대한심장학회 01.04.200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5520
1738-555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배경 및 목적: 염증반응의 대표적인 지표인 C-reactive protein (CRP)의 농도는 향후 심혈관계질환이 발생할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된다. Hydroxymethyl 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억제제(스타틴)는 심혈관계질환의 발생이나 재발을 억제한다. 이전 연구에서 스타틴은 CRP 농도를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변화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지질의 변화와 연관성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동맥질환 등과 같이 죽상동맥경화에 의한 질환이 없으면서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스타틴의 CRP 농도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죽상동맥경화에 의한 질환이 없으면서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진 32명의 환자를 스타틴 투여군으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20 mg의 lovastatin이나 10 mg의 atorvastatin을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성별의 비를 맞추고 연령이 비슷한 32명의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를 선정하였다. 이들에게는 약제는 투여하지 않고 비약물요법만을 권장하였다. 투약 혹은 비약물요법을 시행하기 전과 2개월 후에 지질과 고감도 CRP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2개월간의 스타틴 투여는 CRP 농도를 2.17±2.40 (중간값 1.11) mg/L에서 1.24±1.79(중간값 0.68) mg/L로 42.9% 감소시켰으며(p=0.003), 대조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p=0.26, Table 2). CRP 농도의 감소 정도는 스타틴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컸다(p=0.003). 치료 전 CRP 농도가 3 mg/L 미만인 예(n=24)와 이상인 예(n=8)들 모두에서 스타틴의 투여로 CRP 농도가 감소하였다(각각 p=0.008, p=0.036). 스타틴 투여군에서 초기 CRP 농도가 높을수록 절대 수치의 감소 정도가 컸고(r=0.67, p=0.000), 백분율의 감소 정도가 큰 경향이 있었다(r=0.33, p=0.07). 전체 대상환자에서 치료 전의 CRP 농도는 지질 농도들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변수분석에서 CRP 농도의 감소 정도는 오직 스타틴의 투여여부와 연관이 있었고, 지질 농도의 저하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스타틴 투여군과 대조군 각각에서 CRP 농도의 감소 정도는 지질 농도의 변화와 상관이 없었다. 결 론: 죽상동맥경화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은 한국인에서 2개월간의 스타틴 투여는 CRP 농도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변화는 지질저하 정도와 연관성이 없었으며, 치료 전 CRP 농도가 높을수록 더 많이 감소하였다. Background and Objectives:High C-reactive protein (CRP) levels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The hydroxymethyl 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inhibitors (statin) lowers the CRP level in the population of developed countrie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tatin on the CRP levels in Korean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without atherosclerotic diseases. Subjects and Methods:A total of 32 patients with hypercholesterolemia, administered 20 mg lovastatin or 10 mg atorvastatin, and the same number of similar aged, sex-matched,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as a control group, were enrolled. Non-drug measures were recommended for those without the medication. The patients with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s were excluded. The lipid profiles and high sensitive CRP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2 months of the medication. Results:The baseline CRP levels were not related to the levels of lipids. Statin therapy reduced the CRP levels from 2.17±2.40 (median value 1.11) mg/L to 1.24±1.79 (0.68) mg/L (p=0.003). In all the cases, the magnitude of change in the CRP was related to the statin therapy allocation and the magnitude of changes in the tota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s in a univariate analysis.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nly the statin therapy allocation was an independent variable. For each group,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of CRP and lipids was observed. Conclusion:Short term statin therapy reduced the CRP levels in Korean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without atherosclerotic diseases, and the phenomenon was independent of the changes in lipids. (Korean Circulation J 2004;34 (4):381-387)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0708.2004.34.4.006
ISSN:1738-5520
1738-5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