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을 통한 체육수업 설계와 실행과정 안에서의 교사 경험 -수업컨설팅 참여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체육교사의 수업 설계와 실행의 과정을 통해 겪게 되는 경험을 ‘소통’의 관점에서 탐색해보고, 그 의미를 발견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사간 소통을 전제로 하는 수업컨설팅을 실행하면서 질적 실행 연구를 통해 체육교사들의 경험을 탐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적 표집방법인 준거적 선택 방법으로 컨설턴티 교사 3명과 컨설턴트 교사 3명을 선정하였다. 총 15주에 걸쳐 수업컨설팅을 3단계로 실행하면서 심층면담, 수업관찰, 문서자료 및 동영상 자료를 수집하였고, 영역 분석, 분류체계 분석, 대조집합 분류...
Saved in:
Published in | 교육과정평가연구, 14(3) pp. 261 - 283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1.11.201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1544 2671-728X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체육교사의 수업 설계와 실행의 과정을 통해 겪게 되는 경험을 ‘소통’의 관점에서 탐색해보고, 그 의미를 발견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사간 소통을 전제로 하는 수업컨설팅을 실행하면서 질적 실행 연구를 통해 체육교사들의 경험을 탐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적 표집방법인 준거적 선택 방법으로 컨설턴티 교사 3명과 컨설턴트 교사 3명을 선정하였다. 총 15주에 걸쳐 수업컨설팅을 3단계로 실행하면서 심층면담, 수업관찰, 문서자료 및 동영상 자료를 수집하였고, 영역 분석, 분류체계 분석, 대조집합 분류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례 1에서는 비소통 문화의 잔재에 대한 경험으로 친숙과 어색, ‘억지로’의 상호 교환, 역할 갈등과 역할 채색을 경험하였고, 사례 2에서는 내리사랑과 치사랑의 경험으로 설레임의 동반자, 주기와 담기, 역할 그 이상의 역할을 경험하였다. 사례 3에서는 ‘우리 문화’의 형성과 상생에 대한 경험으로 ‘우리’의 공감, 세련된 여유와 의미 찾기, 산고를 통한 ‘우리 함께’의 미학 발견을 경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experience from PE teachers' class design & practicing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and to discover its mean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quired into PE teachers' experience through qualitative action research while carrying out the instruction consulting premis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For select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this study classified 3 consultee teachers and another 3 consultant teachers using purposive sampling. While proceeding instruction consulting with practice for a total of 15 weeks,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class observation, papers & videos, and also analyzed the collected data through realm analysis, analysis of taxonomy, and classification of a contrast set. As the research result of case 1,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 teachers experienced the invisible space between familiarity and awkwardness, mutual exchange of the "forced" feelings, role conflict and role coloring as the experience in the vestige of non-communication culture; in case 2, subjects were found to experience a companion of fluttering, giving and taking, and role more than itself as the experience in the elder's love for the young and love for elders. In addition, in case 3, the result showed that subject teachers experienced in the sympathy of "us", refined composure and looking for a meaning, and discovery of aesthetics of "together with us" through labor pains as the experience as to formation of "our culture" and win-win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http://www.kice.re.kr/board.do?boardConfigNo=92&page=2&menuNo=261&action=view&boardNo=16825 G704-001275.2011.14.3.012 |
ISSN: | 1229-1544 2671-728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