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와 정부수립기의 정치 참여 교육 - 중등학교의 법제경제, 공민과, 사회과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현행 교육과정 체계 상 시민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과에서 정치 참여에 대한교육은 그 핵심 목표 및 내용 중 하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사회과 중심의 정치참여 교육이 등장한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고 그 의의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사회과 중심 정치 참여 교육이 나타나기 이전인 일제 강점기에 중등학교에서 어떤 형태의 정치 참여 교육이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정부수립기의 사회과 중심 정치 참여 교육이어떻게 등장했고 이전의 정치 참여 교육과 어떤 점에서 달랐는지에 대해 그 내용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육과정평가연구, 19(3) pp. 1 - 21
Main Authors 차조일, 강대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1.08.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1544
2671-728X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우리나라의 현행 교육과정 체계 상 시민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과에서 정치 참여에 대한교육은 그 핵심 목표 및 내용 중 하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사회과 중심의 정치참여 교육이 등장한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고 그 의의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사회과 중심 정치 참여 교육이 나타나기 이전인 일제 강점기에 중등학교에서 어떤 형태의 정치 참여 교육이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정부수립기의 사회과 중심 정치 참여 교육이어떻게 등장했고 이전의 정치 참여 교육과 어떤 점에서 달랐는지에 대해 그 내용과 맥락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 결과에 따르면, 일제 강점기 중등학교의 정치 참여 교육은 초기에는 사회 현실과 무관하게 정치학의 기본 개념 및 원리를 중심적으로 다루었다가, 이후 군국주의의 등장과더불어 전체주의적 관점에서 황국 신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 자질을 중심 내용으로 다루었다. 이에 비하여 해방과 함께 도입된 사회과 중심의 정치 참여 교육은 민주주의 국가의 주역인 민주시민으로서 자질과 관련된 내용들을 포함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가 있다. Education for political participation can be seen as one of the fundamental elements of social studies, a school subject, introduced to implement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education for political participation by examining its origin and transformation in Korea. Bearing this in mind, this study analyzed the form and content of education for politic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t is followed by the examination of how education for political participation formed on the bases of social studies in the Early Korean Government period, drawing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of the contents and contexts of education for political participation between the two period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early phase of education for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can be characterized as having an exclusive focus on poli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with little attention paid to social reality, especially in the case of teaching and learning Laws and Economics. The later phase of education for political particip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marked by the introduction of Civics at secondary school, can be summarized as having an emphasis on enhancing students’ competences as the loyal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In contrast, the aims and contents of education for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Early Korean Government period accompanied by the introduction of social studies as a school subject, fostered the goal of developing democratic citizens.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1275.2016.19.3.007
http://www.kice.re.kr/boardCnts/view.do?boardID=1500201&boardSeq=5006990&lev=0&m=030202&searchType=S&statusYN=W&page=1&s=kice
ISSN:1229-1544
2671-72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