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학교 언어기능 영역 성취기준 적합성 분석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언어기능 영역 성취기준의 적합성을분석하는 것이다. 현직 국어교사 104명에게 중학교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내용 타당성, 진술 명료성, 수준 위계성 측면에서 적합성 정도를 5점 척도에 따라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 성취기준을 지도하기에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학년과 수업 차시도 작성하도록 하였다. 국어교사들은 중학교 언어기능 영역 성취기준이 대체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의 하위 범주별 성취기준 적합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질’ 범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육과정평가연구, 19(2) pp. 27 - 48
Main Author 장은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1.05.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1544
2671-728X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언어기능 영역 성취기준의 적합성을분석하는 것이다. 현직 국어교사 104명에게 중학교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내용 타당성, 진술 명료성, 수준 위계성 측면에서 적합성 정도를 5점 척도에 따라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 성취기준을 지도하기에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학년과 수업 차시도 작성하도록 하였다. 국어교사들은 중학교 언어기능 영역 성취기준이 대체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의 하위 범주별 성취기준 적합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질’ 범주에서는진술의 명료성이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담화/글 유형, 매체’ 범주의 성취기준은 다른 범주보다적합성이 높은 편이다. ‘구성요소, 과정, 전략/방법’ 범주에서 신설된 성취기준 중에는 적합도가상대적으로 낮은 경우가 있었다. 즉, 국어교사들에게 낯선 개념 혹은 수업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는 내용을 다루고 있거나 교수․학습과 평가로 구현하기 어려워 보이는 경우에는 적합도가 낮게나타났다. ‘태도’ 범주는 ‘본질’ 범주에 비해 적합도가 높은 편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andards of language art section of the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doing so, 104 Korean teachers evaluated the standard under three heads; the content validity, the clarity of expression, the hierarchy of the contents standards. Then, the result were analyzed into system of content of 2015 Korean Language National Curriculum; ⑴ Nature, ⑵ Discourse / Text type, & Media, ⑶ Element, Process, & Strategy, ⑷ Attitude. However some newly-organized standards were under 'validity'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instruction and evaluation. First, the standard of Nature category showed under the clarity of expression. Second, the standard of Discourse/Text type were appropriate than other category. Third, the newly-standard of Element, Process, & Strategy category were under appropriateness. Lastly, the standard of Attitude category were appropriate than Nature category.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001275.2016.19.2.003
http://www.kice.re.kr/boardCnts/view.do?boardID=1500201&boardSeq=5005781&lev=0&m=030202&searchType=S&statusYN=W&page=2&s=kice
ISSN:1229-1544
2671-72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