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6학년 영어 교과서 말하기 활동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제작된 6학년 영어교과서가 2015년부터 초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6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말하기 활동의 특징을 다각적인 면에서 분석하여 그 특징과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성과 유창성 및 각 하위 항목을 기준으로 교사용지도서에 나타난 말하기 활동에 대해 양적ㆍ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말하기 활동이 정확성과 유창성의 측면에서 어떻게 분포되었는지를 분석하였는데 대체로 정확성 중심의 활동이 유창성 중심 활동보다 더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발음 관련...
Saved in:
Published in | 교육과정평가연구, 18(3) pp. 161 - 18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1.11.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제작된 6학년 영어교과서가 2015년부터 초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6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말하기 활동의 특징을 다각적인 면에서 분석하여 그 특징과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성과 유창성 및 각 하위 항목을 기준으로 교사용지도서에 나타난 말하기 활동에 대해 양적ㆍ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말하기 활동이 정확성과 유창성의 측면에서 어떻게 분포되었는지를 분석하였는데 대체로 정확성 중심의 활동이 유창성 중심 활동보다 더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발음 관련 연습 활동은 약간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말하기 소재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개인생활, 학교생활, 사회생활이 가장 빈번하게 다루어진 소재였고 여가선용과 환경문제도 자주 나타났다. 세 번째로 말하기 활동 운영 방식을 분석한 결과, 먼저 수행 절차에서는 대부분의 활동이 두 단계 이상의 절차로 이루어졌는데 게임에서는 활동만 제시된 경우가 종종 있었다. 참여자 구성을 보면 거의 모든 활동이 짝이나 모둠으로 이루어졌고 개별적으로 말하기를 연습하거나 정리해보는 시간은 거의 주어지지 않았다. 또한 언어 통합적인 면에서 말하기 활동들은 종종 쓰기와 통합적으로 수행되었는데 이는 역할극이나 창의적 과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실제 수업과 앞으로의 교과서 제작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peaking activities included in the five 6th grade English textbook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hree major categories: the frequencies of accuracy-based and fluency-based speaking activities, the distributions of speaking topics, and the management of speaking tasks in terms of procedures, composition of participants, and integration of language skil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accuracy-based speaking activities were more frequently used than fluency-based ones and that pronunciation related practice was not used enough in the textbooks. In terms of the speaking topics, individual, school, and social lives were the three most frequently used ones.
Spending leisure time and environmental issues were also dealt with in all of the textbook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speaking tasks, most cases were processed in more than two steps out of pre-, while-, and post-task procedures and they were conducted mainly in pairs or groups. Also, writing was frequently integrated with speaking task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classroom teaching and textbook development were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5 |
---|---|
Bibliography: | G704-001275.2015.18.3.005 http://www.kice.re.kr/boardCnts/view.do?boardID=1500201&boardSeq=5001822&lev=0&m=030202&searchType=null&statusYN=W&page=1&s=kice |
ISSN: | 1229-1544 2671-728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