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접근법을 이용한 Morgagni Hernia의 교정 -1예 보고

Morgagni 탈장은 선천성 탈장의 약 3%를 차지하며 주로 증상이 없이 우연히 성인기에 발견된다. 단순 흉부촬영으로 쉽게 진단될 수 있으나 탈장이 없는 경우는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등으로 진단된다. 장관의 감돈 위험이 있으므로 발견되면 수술적 치료가 바람직하다. 흉강이나 복강으로 접근이 가능하나 본 저자들은 복강경을 이용하여 교정이 가능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KCI Citation Count: 1...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chest surgery pp. 722 - 725
Main Authors 황정주, 김도형, 이양덕, 김길동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흉부외과학회 01.10.200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65-1606
2765-161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Morgagni 탈장은 선천성 탈장의 약 3%를 차지하며 주로 증상이 없이 우연히 성인기에 발견된다. 단순 흉부촬영으로 쉽게 진단될 수 있으나 탈장이 없는 경우는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등으로 진단된다. 장관의 감돈 위험이 있으므로 발견되면 수술적 치료가 바람직하다. 흉강이나 복강으로 접근이 가능하나 본 저자들은 복강경을 이용하여 교정이 가능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0272.2007.40.10.008
ISSN:2765-1606
2765-1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