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인의 낙상 실태와 위험요인: 일부 지역의 인구비례 할당 표본 조사
연구배경: 일부 지역의 인구 비례할당 표본 조사를 통하여노인의 낙상의 발생과 그 결과를 조사하고 낙상 위험 인자를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한 지역의 65세 이상 인구의 비례할당 표본을 대상으로 숙련된 조사요원에 의한 전화조사를 통해 낙상발생 날짜,시간, 장소, 상황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관련된부상 등 낙상 결과에 관한 조사와 낙상에 대한 위험인자,즉 독거 유무, 알코올섭취량, 운동량, 청각과 시각장애, 기억력, 감각 문제, 하지 위약 및 관절염 증상 등을 물어보았다. 또한 낙상의 두려움과 두려움 관련 활동제한도 평가하였...
Saved in:
Published in |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pp. 8 - 17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노인병학회
01.03.201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508-4798 2508-4909 |
Cover
Summary: | 연구배경: 일부 지역의 인구 비례할당 표본 조사를 통하여노인의 낙상의 발생과 그 결과를 조사하고 낙상 위험 인자를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한 지역의 65세 이상 인구의 비례할당 표본을 대상으로 숙련된 조사요원에 의한 전화조사를 통해 낙상발생 날짜,시간, 장소, 상황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관련된부상 등 낙상 결과에 관한 조사와 낙상에 대한 위험인자,즉 독거 유무, 알코올섭취량, 운동량, 청각과 시각장애, 기억력, 감각 문제, 하지 위약 및 관절염 증상 등을 물어보았다.
또한 낙상의 두려움과 두려움 관련 활동제한도 평가하였다.
결과: 지난1년 동안 낙상의 발생률이 13%였고, 여성의발생률이 더 높았다. 낙상은 주로 봄이나 여름 10시~3시사이에 주로 나타났다. 낙상의 일반적인 이유는 미끄러짐과걸려 넘어짐이었다. 14.9%의 사람이 골절상을 입었다. 여성이 낙상의 중요한 위험요소였는데, 여성의 경우 더 심각하게부상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최근 1년 동안 낙상의 주된위험요소로는 하지의 고유수용체감각의 감소였다. 특히 여성에서 낙상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활동을 제한하는 경향을보였다.
결론: 노인에서 여성 자체가 낙상의 위험인자이다. 여성노인이 더 자주 넘어지고 낙상 후에 더 나쁜 낙상 결과를갖게 되며, 낙상 관련 두려움과 이로 인한 활동제한도 더많았다.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falls and their consequences in a representative population and to identify risk factors of falls in the elderly.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 as a population based sample of one large city. A total of 828 people 65 years or old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interviewed over the telephone by a trained interviewer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o obtain a fall history and details of their most recent fall including date, time, place, circumstances, and associated injury. As for risk factors for falls, we asked about living arran- gement(with family or alone), alcohol intake, exercise,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memory and sensory problems, lower limb weakness, and arthritis symptoms. Fear of falling and fear-related activity restriction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 incidence of falls during the last one year was 13.0%. Women experienced falls more frequently. Falls occurred mainly in spring and summer and from 10 AM to 3 PM. Common causes of falls were slipping and tripping. 14.9% of those who fell suffered consequent fractures. Being female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falls; and females tended to get injured more severely following a fall. During the recent one year, decreased proprioception in the lower extremity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falls. Those with histories of falls, and especially women, tended to limit their activities due to the fear of falling.
Conclusion: Overall, it appears that elderly women are more greatly affected by falls at several levels. Female partici- pants fell more frequently and suffered more severe consequences. Fall-related injuries and risk factors for falls disproportionately affected women. And, being female and any amount of decreased sensation in the feet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falls. KCI Citation Count: 52 |
---|---|
Bibliography: | G704-SER000009895.2010.14.1.002 http://kmbase.medric.or.kr/Main.aspx?d=KMBASE&m=VIEW&i=0828520100140010008 |
ISSN: | 2508-4798 2508-4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