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골반 골절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연구배경: 골반 골절은 다른 외상에 비해 중증도가 높고사망률이 높다. 이 연구 목적은 노인 인구에서의 골반 골절의임상 양상을 비 노인과 비교하여 그 특징을 알아내고 예방및 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방법: 저자들은 2007년 3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응급센터에 골반 골절로 내원한 100예에 대해 의무 기록, 방사선학적검사에 대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65세 이상의 노인과65세 미만의 비 노인 두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연령에 따른성별분포, 손상 원인, 골절 유형, 동반 손상, Injury Severity Scor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pp. 221 - 226
Main Authors 김동원, 서정열, 안무업, 이재성, 이태헌, 김남호, 조준휘, 문중범, 박찬우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노인병학회 01.12.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08-4798
2508-490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골반 골절은 다른 외상에 비해 중증도가 높고사망률이 높다. 이 연구 목적은 노인 인구에서의 골반 골절의임상 양상을 비 노인과 비교하여 그 특징을 알아내고 예방및 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방법: 저자들은 2007년 3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응급센터에 골반 골절로 내원한 100예에 대해 의무 기록, 방사선학적검사에 대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65세 이상의 노인과65세 미만의 비 노인 두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연령에 따른성별분포, 손상 원인, 골절 유형, 동반 손상, Injury Severity Score, Glasgow Coma Scale, 중환자실 입원 여부, 입원 기간,사망률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성별 분포에서는 65세 이상의 노인에서 남성 12명,여성 26명, 65세 미만의 비 노인군에서는 남성 35명, 여성27명으로 차이를 보였다(p<0.05). 손상 원인으로는 65세이상에서는 보행자 사고, 추락, 탑승자 사고 순이었으며,65세 미만에서는 탑승자 사고, 보행자 사고, 추락 순이었다(p<0.05). 동반 손상은 65세 이상에서는 두경부가 16예로가장 많았으며, 65세 미만에서는 사지가 37예로 가장 많았다. Injury Severity Score, Glasgow Coma Scale에서 비 노인군이더 중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환자실 입원도 비노인군에서 더 많았다. 그리고 입원 기간 역시 비 노인군에서더 길었다. 하지만 ISS 15점 이상에서는 노인 군에서 ISS 점수가더 높았으며, 사망률 또한 노인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 성별 및 손상의 원인에 차이를 생각할 때 노인군에대한 교육 및 예방이 필요하며, 중증도가 높기 때문에 고령의골반 골절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감시 및 처치가 필요하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aspects of pelvic fractures in an aged group with a non- aged group and to delineate its characteristics to improve prevention and treatment. Methods: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of 100 cases were reviewed. Two groups were created, older than 65 years and younger than 65 years. In addition, the following were carefully examined and recorded-gender distribu- tion, cause and types of fractures, associated injuries, Injury Severity Score(ISS), Glasgow Coma Scale, need for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duration of hospitalization, and mortality rate. Results: A difference in gender distribution was seen with 12 males and 26 females in the aged group and 35 males and 27 females in the non-aged group(p<0.05). The mechanism of injury for the aged group in decreasing order was pedst- rian accidents, falls, and passenger accidents while it was passenger accidents, pedestrian accidents, and falls for the non-aged group(p<0.05). Level of severity was higher in the non-aged group for fracture type, ISS, Glasgow Coma Scale,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and hospitalization duration. However, when ISS was greater than 15, this was seen in the aged group with also a higher mortality rate in the same group. Conclusion: Education and prevention, particularly about gender distribution and mechanism of injury, of pelvic fractures in the aged population are needed, and because of the potential seriousness of fractures in the elderly, active assessment and treatment are also necessary.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http://kmbase.medric.or.kr/Main.aspx?d=KMBASE&m=VIEW&i=0828520100140040221
G704-SER000009895.2010.14.4.004
ISSN:2508-4798
2508-4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