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인계 중독 환자에서 연령에 따른 특징 및 예후
연구배경: 유기인계 중독 환자에서 65세 이상 환자(노인군)와64세 이하 환자(청장년군)로 분류하여 생체징후, 입원 기간, 콜린에스테라제 활성도, 합병증, 퇴원 예후 등을 비교하여 연령에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사망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유기인계중독으로 응급센터로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수집하여 조사하였다. 그 중 18세 이하의 환자, 간경변증이 있는 환자, 종양이 있는 환자, 영양 상태가 악화되어 있는환자, 감염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Saved in:
Published in |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pp. 198 - 204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노인병학회
01.12.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508-4798 2508-4909 |
DOI | 10.4235/jkgs.2013.17.4.198 |
Cover
Summary: | 연구배경: 유기인계 중독 환자에서 65세 이상 환자(노인군)와64세 이하 환자(청장년군)로 분류하여 생체징후, 입원 기간, 콜린에스테라제 활성도, 합병증, 퇴원 예후 등을 비교하여 연령에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사망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유기인계중독으로 응급센터로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수집하여 조사하였다. 그 중 18세 이하의 환자, 간경변증이 있는 환자, 종양이 있는 환자, 영양 상태가 악화되어 있는환자, 감염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65세이상의 노인군과 64세 이하의 청장년군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 환자는 총 155명으로 노인군 45명, 청장년군110명이었다. 기관 내 삽관 시행률을 비교한 결과, 노인군 36명(80.0%), 청장년군 63명(57.3%)으로 차이가 있었고(p=0.026), 승압제 중 도파민(dopamine)을 투여한 경우가 노인군 7명(15.6 %), 청장년군 11명(10.0%)으로 차이가 있었다(p=0.022). 흡인성 폐렴 발생률은 노인군 16명(45.7%), 청장년군 17명(19.5%) 으로 차이가 있었고(p=0.017), 쇼크 발생률 역시 노인군 22명(48.9%), 청장년군 23명(20.9%)으로 차이가 있었다(p=0.008).
호흡성 합병증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노인군 35명(81.4%), 청장년군 62명(59.0%)으로 차이가 있었고(p=0.031), 중추신경계 이상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노인군 20명(46.5%), 청장년군19명(18.1%)으로 차이가 있었다(p=0.005). 1일, 3일, 5일, 10일, 15일, 20일 혈장 콜린에스테라제를 비교했는데, 노인군 보다청장년군에서 증가 속도가 빨랐다(p=0.022).
결론: 유기인계 중독 환자 중 노인군이 청장년군 보다 기관내 삽관 시행률, 흡인성 폐렴 발생률, 쇼크 발생률, 중추신경계이상 발생률, 중증도가 높았으며, 콜린에스테라제 활성도가낮았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mortality in organophosphate intoxicatio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lderly (≥65 years) and younger adults (18-64 years) looking at vital sign, length of admission, cholinesterase activity, complications, and prognosis.
Methods: All patients visiting one Emergency Department (ED) with organophophate intoxication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11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geriatric adults (≥ 65 years) and nongeriatric adults (18-64 years).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155 patients (45 patients, ≥65 years; 110 patients, 18-64 years) presented to the ED with organophosphate intoxication. Thirty-six elderly patients (80.0%) vs. 63 younger adult patients (57.3%) were intubated endotracheally, with the analysis showing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groups (p=0.026). Twenty-two elderly patients (48.9%) vs. 23 younger adult patients (20.9%) went into shock, displaying a significant gap (p=0.008). Thirtyfive elderly patients (81.4%) vs. 62 younger adult patients (59.0%) developed respiratory complications and 20 elderly patients (46.5%) vs. 19 younger adult patients (18.1%) developed central nervous system complications, with obvious differences seen in each of the comparison at (p=0.031) and (p=0.005), respectively. Comparing plasma cholinesterase levels at 1st, 3rd, 5th, 10th, 15th, and 20th days, the rate of increase was faster in the younger adults (p=0.022).
Conclusion: With organophosphate intoxication, elderly patients tended to be intubated endotracheally, went into shock, developed central nervous system complications, were more severe, and showed a slower increase in cholinesterase level.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G704-SER000009895.2013.17.4.011 |
ISSN: | 2508-4798 2508-4909 |
DOI: | 10.4235/jkgs.2013.17.4.1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