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개 권역응급의료센터에 내과계 질환으로 내원한 노인 환자의 주증상 및 관련된 특성

연구배경: 내과계 질환으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노인환자의 주증상과 관련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2년 1월1일부터 2012년 6월30일까지 중소도시의 일개 병원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환자 중 65세 이상노인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나이, 성별, 내원 수단, 내원 시간, 주증상, 퇴원 시 진단명 등을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내 총 27,396명의 환자가 응급의료센터를방문하였고, 본 연구 대상인 내과계 질환의 노인 환자는 3,468 명(12.66%)이었다. 가장 많은 연령대는 70‒74세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pp. 118 - 125
Main Authors 정시경, 임지용, 홍성엽, 최세민, 최승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노인병학회 01.09.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08-4798
2508-4909
DOI10.4235/jkgs.2013.17.3.118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내과계 질환으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노인환자의 주증상과 관련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2년 1월1일부터 2012년 6월30일까지 중소도시의 일개 병원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환자 중 65세 이상노인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나이, 성별, 내원 수단, 내원 시간, 주증상, 퇴원 시 진단명 등을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내 총 27,396명의 환자가 응급의료센터를방문하였고, 본 연구 대상인 내과계 질환의 노인 환자는 3,468 명(12.66%)이었다. 가장 많은 연령대는 70‒74세로 노인 환자의 28.45%를 차지하였다. 노인 환자의 43.06%가 응급의료센터 내원 시 구급차를 이용하였고 입원율은 42.96%, 중환자실입원율은 11.13%였다.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하게 된 주증상은 복통(16.81%), 호흡곤란(13.96%), 발열(11.16%), 흉통(9.40%), 어지럼증(6.57%) 순이었다. 주증상이 복통인 경우위염(20.75%) 진단이 가장 많았으며, 호흡곤란은 만성심부전(26.03%), 발열은 폐렴(28.96%) 진단이 가장 많았다. 입원환자에서 주된 진단명은 뇌졸중(16.38%), 폐렴(12.48), 만성심부전(6.04%) 순이었다. 결론: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노인 환자의 입원율, 특히중환자실 입원율이 젊은 환자에 비해 높았다. 노인 환자가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하게 하게 된 주증상은 복통, 호흡곤란, 발열 순이었고 가장 많았던 상위 10개 주증상이 전체 내원환자의 78.92%를 차지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응급센터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노인응급의학 과정의 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치료 표준화 구축 등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겠다. Background: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chief complaints and related features of elderly patients who are presented to emergency department with medical problems. Methods: Medical records of patients, 65 years or above, who visited Uijeongbu Hospital Emergency Center between January 1, 2012 and June 30, 2012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ge, gender, mode of transportation to the hospital, chief complaints, and diagnosis were among the subjects analyzed. Results: Elderly patients with medical problems, 3,468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constituting 12.66% from 27,396 patients in total during the research period. Patients aged 70 to 74 were 28.45%, composing the most among the age groups. Ambulance was the mode of transportation used by 43.06% of the patients and 42.96% of them stayed overnight, while 11.13% stayed in the intensive care units. The most frequent chief complaints were abdominal pain (16.81%), dyspnea (13.96%), and fever (11.16%). The most common diagnosis for patients with abdominal pain was gastritis (20.75%), chronic heart failure (26.03%) for dyspnea, and pneumonia (28.96%) for fever. The main diagnoses of in-patients according to the order of frequency were cerebral vascular accident (16.38%), pneumonia (12.48%), and chronic heart failure (6.04%). Conclusion: The number of elderly patients who stayed overnight and stayed in the intensive care units have increased comparing to younger patients. The top 10 most frequent chief complaints accounted for 78.92% by medical elderly patie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geriatric emergency medicine training programs and critical pathway for interns and residents. KCI Citation Count: 7
Bibliography:G704-SER000009895.2013.17.3.001
ISSN:2508-4798
2508-4909
DOI:10.4235/jkgs.2013.17.3.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