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디아스포라를 위한 기독교교육적 함의
본 논문은 한인 디아스포라들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전 세계 흩어져 있는 재외국민이 720만 명을 넘어서는 시점에서 이처럼 큰규모와 각 나라의 다양성 때문에 한인 디아스포라를 위한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다루는 것은 단순한 작업이 아니다. 이러한 제약들 속에서도 본 연구는 한인 디아스포라의 역사, 한인 디아스포라와 한인 이민교회들의 관계성, 대표적인 사례로서 미주한인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형성과 신앙교육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역사적으로 보면 초기 한인 디아스포라가 세운 교회들은 한국 근대사와 현대사의 전...
Saved in:
Published in | Changsin nondan pp. 292 - 31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01.12.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1390 2713-7554 |
DOI | 10.15757/kpjt.2012.44.4.012 |
Cover
Summary: | 본 논문은 한인 디아스포라들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전 세계 흩어져 있는 재외국민이 720만 명을 넘어서는 시점에서 이처럼 큰규모와 각 나라의 다양성 때문에 한인 디아스포라를 위한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다루는 것은 단순한 작업이 아니다. 이러한 제약들 속에서도 본 연구는 한인 디아스포라의 역사, 한인 디아스포라와 한인 이민교회들의 관계성, 대표적인 사례로서 미주한인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형성과 신앙교육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역사적으로 보면 초기 한인 디아스포라가 세운 교회들은 한국 근대사와 현대사의 전환 시기에 한국문화교육을 통해서 민족정체성을 형성하며 독립운동에 일조하였고, 후에는 한국 민주화운동에도 일조하였다. 또한 비기독교인인 소외된 이주자들의 복음화를 통해서 교회를 성장시켰다. 그리고 한인 공동체와 지역사회를연결시키는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하며 지역사회에 대한 교회의 시대적 사명을 잘 감당하여왔다. 이후 한인들의 해외 이주가 더욱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서 한인 디아스포라를 위한 기독교교육은 한인 디아스포라중심의 민족교육과 타문화권을 포함시키는 탈민족 중심교육 또는 다문화 중심교육으로 크게 구분되어진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의 분석과 더불어 필자는 한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네 가지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가정중심의 교회공동체를 강화, 확대하기. 둘째, 기독교 한인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셋째, 민족공동체를 넘어서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선교에 협력하기. 마지막으로 지역공동체를 넘어서 타지역 한인 디아스포라 선교 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통한시너지를 창조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the implications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e Korean diaspora including Korean citizens as well as non-Korean citizens living in other countries. Since the number of Koreans who live in other countries is over 7.2million, it is a difficult job to deal with the implications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e Korean diaspora because of the different Korean diasporas’ contexts. However, I t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diaspora, the Korean diaspora churches,and the efforts of the Korean diaspora churches in America to encourage second and third generation Korean Americans to build up their own identity as faithful Korean American Christians.
After dealing with them, I realized that the Korean diaspora churches have emphasized on both the ethnic-centered Christian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trends of the Korean immigrants’ history. The Korean diaspora churches focused on the Korean ethnicity through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s in order to achieve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afterwards through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Korean democratic movement. Also,the Korean diaspora churches contributed to the church growth by evangelizing the alienated and deprived Korean immigrants into the church life. As bridgebuilders,the Korean diaspora churches have played the role of mediators between the Korean diaspora community and the mainstream society.
Therefore, I suggested four implications of Christian education as follows: 1) to reinforce and extend the family-centered church community, 2) to form the Korean diaspora’s identity, 3) to cooperate with other ethnic groups for the Kingdom of God,and 4) to create synergies through cooperating with other Korean diasporas’ mission networks beyond local boundaries. KCI Citation Count: 5 |
---|---|
Bibliography: | G704-SER000002693.2012.44.4.012 |
ISSN: | 1229-1390 2713-7554 |
DOI: | 10.15757/kpjt.2012.44.4.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