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숙증 및 조기 사춘기 환아의 성장 상태와 체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목적: 최근 비만의 급증과 성조숙증의 연관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조숙증 환아 및 조기사춘기 환아의 성장상태 및 체성분 조성 차이를 비교하였다. 방법: 이차성징의 빠른 출현을 주소로 내원하여 성조숙증이 의심되어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자극검사를 받은105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고 LH≥5 mIU/mL인 군을 성조숙증으로, <5 mIU/mL인 군을 조기사춘기로 정의하였으며 각 군에 해당되는 환아는 성조숙증 49명, 조기사춘기 56명이었다. 대상자의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고, 체질량지수와 각각의...
Saved in:
Published in | Annals of pediatric endocrinology & metabolism pp. 169 - 174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소아내분비학회
01.09.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7-1012 2287-1292 |
Cover
Summary: | 목적: 최근 비만의 급증과 성조숙증의 연관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조숙증 환아 및 조기사춘기 환아의 성장상태 및 체성분 조성 차이를 비교하였다.
방법: 이차성징의 빠른 출현을 주소로 내원하여 성조숙증이 의심되어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자극검사를 받은105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고 LH≥5 mIU/mL인 군을 성조숙증으로, <5 mIU/mL인 군을 조기사춘기로 정의하였으며 각 군에 해당되는 환아는 성조숙증 49명, 조기사춘기 56명이었다. 대상자의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고, 체질량지수와 각각의 Z-score를 계산하였으며, 체지방량, 제지방량, 체지방지수, 제지방지수, 체지방률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성조숙증군과 조기 사춘기군의 신장, 체중, 신장 Z-score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체중 Z-score (P =0.045), 체질량지수(P =0.015)와 체질량지수 Z-score (P =0.006)및 체지방률(P =0.018)은 조기사춘기군에서 성조숙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제지방량과 제지방량지수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체지방량(P =0.047)과 체지방량지수(P =0.017)는 조기 사춘기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회귀분석결과 체지방량지수는 주로 제지방량지수에 의하여 결정되나 성조숙증군과 조기사춘기군에 따라 설명력이 달라짐이 확인되었다결론: 조기사춘기 군에서 체질량지수가 높았으며 증가된 체질량지수는 체지방지수 차이에서 기인함이 확인되었다. 제지방량과 지방량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체성분 측정의 활용은 조기사춘기 환아의 추적 진료시 생활습관 관리와 함께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rowth status and body composition in children with 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 ) and early puberty (EP).
Methods: One hundred and five girls (mean age, 7.7 ± 0.8 years) with early thelarche were included, and a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stimulation test was performed.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two groups based on peak leuteinizing hormone (LH) levels; peak LH level ≥ 5 mIU/L was diagnosed as CPP (n = 49), and peak LH level < 5 mIU/L was diagnosed as EP (n = 56). Patients’ height, weight, and body composition were measured, and their body mass index (BMI) and Z-score were calculated. Fat mass (FF), fat-free mass (FFM), fat mass index (FMI), fat-free mass index (FFMI), and percent of body fat (PBF) were compared.
Results: Height, weight, and height Z-sco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PP and EP groups. Weight Z-score (P = 0.045), BMI (P = 0.015), BMI Z-score (P =0.006), PBF (P = 0.018), FM (P = 0.047), and FMI (P = 0.017) in the EP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in the CPP group.
Conclusion: In EP girls, increased BMI was attributed to increased FMI. Body -composition analysis might be a useful tool in monitoring life style modification during pubertal growth.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G704-002175.2012.17.3.004 |
ISSN: | 2287-1012 2287-12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