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파사성과 삼국 시기 그의 운용
본고는 파사성의 명칭과 소재지 그리고 삼국 시기의 운용을 살펴본 것이다. 파사성의 명칭은 늦어도14세기 중반 고려에서부터 사용하였다. 조선 후기 지도에서는 신증동국여지승람 에 보이는 古山城 을 파사성으로 보고 대송면 본동 일대에 그 위치를 표시하였다. 파사성이 소재한 남한강 중류는 마한의세력 범위에 속하였는데, 3세기 중반~4세기 중반 백제, 475년부터 6세기 중반까지 고구려, 6세기 중반 이후 신라에서 차지하였다. 마한에서 백제-고구려-신라 순으로 영유국이 바뀐 것이다. 삼국사기 에 보이는 술천성이 지금의 파사성 내지 술천성으로...
Saved in:
Published in | 백산학보, 0(132) pp. 101 - 121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백산학회
01.08.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7109 |
Cover
Loading…
Summary: | 본고는 파사성의 명칭과 소재지 그리고 삼국 시기의 운용을 살펴본 것이다. 파사성의 명칭은 늦어도14세기 중반 고려에서부터 사용하였다. 조선 후기 지도에서는 신증동국여지승람 에 보이는 古山城 을 파사성으로 보고 대송면 본동 일대에 그 위치를 표시하였다. 파사성이 소재한 남한강 중류는 마한의세력 범위에 속하였는데, 3세기 중반~4세기 중반 백제, 475년부터 6세기 중반까지 고구려, 6세기 중반 이후 신라에서 차지하였다. 마한에서 백제-고구려-신라 순으로 영유국이 바뀐 것이다. 삼국사기 에 보이는 술천성이 지금의 파사성 내지 술천성으로, 파사성과 술천성은 유기적 방어체계를 형성하며상호 보완적으로 운용되었다. 술천성은 삼국사기 지리지에 보이는 술천군 및 그 영현 지역의 거점이었다. 술천성 지역은 지금의 충주 지역에서 남한강-한강으로 통하는 수상 교통의 요지였고, 한강 평야지대와 동부 산간지대를 잇는 육상 교통의 요지였다. 한반도 중부에서 남북과 동서 양면의 방향에서지리적‧군사적 중요성이 높았다. 그러므로 신라는 삼국통일 이후에도 이 지역을 중시하였고, 성과군사조직을 정비하였다. This paper has reviewed several issues concerning Pasa Fortress(파사성)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building on previous research findings. The name “Pasa Fortress” was in use at least as early as the mid-14th century Goryeo. In late Joseon maps, the Gosan Fortress mentioned in the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신증동국여지승람, Augmented Survey on Geography of Korea) was identified as Pasa Fortress and its location marked in the Daesong-myeon. The middle reaches of the Namhan River, where Pasa Fortress sits, lay originally within the sphere of Mahan and, by the mid-3rd to mid-4th centuries, within that of Baekje. From 475 until the mid-6th century it was held by Goguryeo, and thereafter administered by Silla—thus passing in turn from Mahan to Baekje to Goguryeo to Silla. The Sulcheon Fortress (술천성), described in the Samguk Sagi(삼국사기) , corresponds to today’s Pasa and Sulcheon Fortresses; the two formed an interlocking defense system that mutually reinforced each other. Sulcheon Fortress was the stronghold of Sulcheon-gun (술천군), as recorded in the geography section of the Samguk Sagi . commanding the critical waterway linking the Namhan and Han Rivers from the Chungju region, as well as the land routes between the Han River plains and the eastern mountain area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5-7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