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색 –마르셀 뒤샹의 제목 연구
본 연구는 작품 제목에 관한 연속 연구의 하나로, 제목이 단순한 명명을 넘어 작품의 구성 요소로 작동하는 방식을 마르셀 뒤샹의 사례를 중심으로 심층 고찰한다. 선행 연구에서는 19세기 중반 이후 현대미술의 출현과 함께, 재현 중심의 미술 언어에서 벗어난 표현 다양화와 전시 제도의 변화가 작품 제목의 의미작용을 확대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20세기 초 레디메이드의 등장과 더불어, 제목은 더 이상 설명적 보조가 아니라, 작품의 해석을 유도하고 감상의 방향을 구성하는 핵심 기호 체계로 기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 분석 및 사례 연구...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26(4) pp. 15 - 26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01.08.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작품 제목에 관한 연속 연구의 하나로, 제목이 단순한 명명을 넘어 작품의 구성 요소로 작동하는 방식을 마르셀 뒤샹의 사례를 중심으로 심층 고찰한다. 선행 연구에서는 19세기 중반 이후 현대미술의 출현과 함께, 재현 중심의 미술 언어에서 벗어난 표현 다양화와 전시 제도의 변화가 작품 제목의 의미작용을 확대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20세기 초 레디메이드의 등장과 더불어, 제목은 더 이상 설명적 보조가 아니라, 작품의 해석을 유도하고 감상의 방향을 구성하는 핵심 기호 체계로 기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 분석 및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뒤샹의 대표작인 〈L.H.O.O.Q.〉, 〈Fountain〉, 〈Belle Haleine〉 등에서 언어유희, 음성적 중첩, 의미의 전치를 통해 기표와 기의 간 틈을 유도하는 제목의 전략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전략은 감상자에게 자동적 해석을 차단하고, 능동적 해석자로서의 참여를 유도하는 장치로 기능한다. 예를 들어 〈L.H.O.O.Q.〉의 경우 프랑스어 발음이 성적 함의를 암시함으로써, 이미지와 언어 사이의 비의도적 충돌을 유도하고, 미술 제도와 정전에 대한 전복적 태도를 드러낸다. 이러한 제목의 개입 전략은 단지 시적 수사나 유희를 넘어서, 감상자가 이미지와 언어 사이의 인식 틈을 자각하고, 스스로 의미를 생성하게 만드는 존재론적 사유의 공간을 제공한다. 즉, 뒤샹에게 제목은 '보는 것'과 '읽는 것'의 경계를 교란하고, 작품 텍스트 감상자 사이에 상호 구성적인 개념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매개 장치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뒤샹의 작품 제목이 시각 이미지와 언어 기호의 상호작용을 통해, 감상자 주체의 전환, 미술 언어의 재정의, 제도 비판의 전위 전략으로 작동했음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작품 제목을 독립적 기호로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며, 동시대 개념미술과 텍스트 기반 작업의 해석에도 확장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artwork’ titles not merely as naming devices but as integral compositional elements withi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focusing on the case of Marcel Duchamp. Building on previous research that traced the emergence of titles as active semiotic agents since the mid 19th century, this paper examines how shifts in exhibition formats and the diversification of artistic language beyond mimetic representation have amplified the interpretive function of titles. The rise of abstraction and the conceptual turn in the 21th century further emphasized the title as a crucial mediator between artwork and viewer. Through a combination of textual analysis and case studies, this paper analyzes Duchamp's strategic use of titles in works such as L.H.O.O.Q., Fountain, and Belle Haleine, highlighting how puns, phonetic ambiguity, and semantic displacement create gaps between signifier and signified. These gaps disrupt automatic decoding and invite the viewer into a more active interpretive role. For instance, L.H.O.O.Q. phonetically suggests a risqué phrase in French, challenging the sanctity of canonical imagery and art historical authority through ironic linguistic intervention. Rather than serving merely poetic or humorous functions, Duchamp's titling strategies redefine the title as an ontological device, one that opens a conceptual space in which viewers become co producers of meaning. In this sense, the title operates not only as a label but as a mediating agent that constructs a dynamic semiotic network among image, language, and audience. Ultimately, this study argues that Duchamp's titles function as key components of his conceptual practice, enabling a critical redefinition of visual language, viewer agency, and institutional critique. By theorizing the title as a semiotic field in its own right, this research offers a methodological framework applicable to the analysis of text based and concept driven art in contemporary context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8635 2713-59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