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식민주의적 시각에서 본 한국 창작 뮤지컬 <베르사유의 장미>의 문화적 전유와 주체성 재구성 전략

본 연구는 2024년 EMK 뮤지컬 컴퍼니가 제작한 한국 창작 뮤지컬 <베르사유의 장미>를 대상으로, 포스트식민주의적 관점에서 일본 원작 콘텐츠에 대한 한국 공연예술계의 비판적 전유(appropriation) 및 탈식민주의적 각색 전략을 분석한다. 일본 만화가 이케다 리요코의 원작과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각색 공연을 기반으로 한 이 작품은, 원작의 서사를 해체하고 한국적 미학과 정서를 결합하여 독자적인 문화적 주체성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에드워드 사이드의 ‘대위적 독해’, 호미 바바의 ‘모방(mimicry)’과 ‘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문화콘텐츠연구, 0(34) pp. 237 - 268
Main Authors 곡채유, 장웅조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01.08.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2256
DOI10.34227/tjocc.2025..34.23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2024년 EMK 뮤지컬 컴퍼니가 제작한 한국 창작 뮤지컬 <베르사유의 장미>를 대상으로, 포스트식민주의적 관점에서 일본 원작 콘텐츠에 대한 한국 공연예술계의 비판적 전유(appropriation) 및 탈식민주의적 각색 전략을 분석한다. 일본 만화가 이케다 리요코의 원작과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각색 공연을 기반으로 한 이 작품은, 원작의 서사를 해체하고 한국적 미학과 정서를 결합하여 독자적인 문화적 주체성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에드워드 사이드의 ‘대위적 독해’, 호미 바바의 ‘모방(mimicry)’과 ‘혼종성(hybridity)’, 그리고 가야트리 스피박의 ‘서발턴(subaltern)’ 등 포스트식민주의의 주요 개념을 통해 뮤지컬의 서사 구조, 인물 설정, 무대 시각언어, 신체 수행 및 관객 수용 양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창작자들이 일본 대중문화의 상징적 권위를 탈중심화하며, 문화적 전유의 수행적 실천을 통해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문화 주체성을 형성하고 있음을 밝혔다. 본 논문은 또한 기존의 일본 중심의 동아시아 문화 권력 구조 속에서 이루어지는 협상적이고 창조적인 문화 재서사화의 사례를 제시하며, 동아시아 공연예술의 탈식민적 실천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한다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2024 Korean musical adaptation of “The Rose of Versailles,” produced by EMK Musical Company, from a postcolonial perspective, focusing on the critical appropriation and decolonial adaptation strategies utilized by Korean performing arts creators in reinter-preting Japanese source material. Based on Riyoko Ikeda’s original manga and its subsequent adaptation by the Takarazuka Revue, this production dismantles the original narrative, integrating distinctively Korean aesthetics and sensibilities to construct an independent and active cultural subjectivity. Employing key postcolonial concepts such as Edward Said’s “contrapuntal reading,” Homi Bhabha’s “mimicry” and “hybridity,” and Gayatri Spivak’s “subaltern,” this research comprehensively examines narrative structures, character portrayals, visual stage languages, bodily performances, and audience reception. It demonstrates how Korean creators strategically decentralize the symbolic authority of Japanese popular culture, thus actively establishing autonomous cultural identities through performative acts of appropriation.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a practical example of negotiated and creative cultural reinterpretation within the East Asian cultural power dynamics, empirically validating the potential of postcolonial practice in East Asian performing arts. KCI Citation Count: 0
ISSN:2287-2256
DOI:10.34227/tjocc.2025..34.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