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문헌의 체계적 분석을 통한 통합적 앙트러프러너십 교육 모델 제안
앙트러프러너십 연구는 그 중요성과 학문적 성숙도에도 불구하고, 지식이 분절되어 있어 교육 현장에서 여러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앙트러프러너십의 통합적 교육 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분야의 지적 토대를 형성한 핵심 문헌 62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제 분석 결과, 앙트러프러너십은 분야의 정체성과 거시 이론을 다루는‘개념과 이론적 기초’, 창업가의 인지, 감정, 회복탄력성을 포함하는‘개인’, 조직의 전략, 팀, 혁신을 포괄하는‘조직’, 자원 동원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실행 및 자원 환경’이라는 네 가지 다층...
Saved in:
Published in | 벤처창업연구, 20(4) pp. 17 - 36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벤처창업학회
01.08.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7557 2671-9509 |
DOI | 10.16972/apjbve.20.4.202508.17 |
Cover
Loading…
Summary: | 앙트러프러너십 연구는 그 중요성과 학문적 성숙도에도 불구하고, 지식이 분절되어 있어 교육 현장에서 여러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앙트러프러너십의 통합적 교육 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분야의 지적 토대를 형성한 핵심 문헌 62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제 분석 결과, 앙트러프러너십은 분야의 정체성과 거시 이론을 다루는‘개념과 이론적 기초’, 창업가의 인지, 감정, 회복탄력성을 포함하는‘개인’, 조직의 전략, 팀, 혁신을 포괄하는‘조직’, 자원 동원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실행 및 자원 환경’이라는 네 가지 다층적 영역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복합적 현상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이 네 가지 영역을 각각‘개념적 기반(Conceptual)’,‘주체성과 마인드셋(Ownership & Mindset)’,‘자원과 전략(Resource & Strategy)’,‘생태계 참여(Ecosystem)’로 연결한‘CORE’통합 교육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앙트러프러너십 분야의 핵심 지적 자산을 체계적으로 재구조화하여 향후 지식의 체계적 축적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며, 기존의 단편적 교육을 넘어 학습자의 통합적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모델의 청사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실무적 의의를 지닌다. Despite its importance and academic maturity, entrepreneurship research remains fragmented, leading to considerable confusion in educational setting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62 seminal papers that form the intellectual foundation of the field, with the aim of proposing an integrated educational model for entrepreneurship. Thematic analysis reveals that entrepreneurship is a complex phenomenon in which four multi-layered domains are organically connected: 1) ‘Conceptual and Theoretical Foundations,’ which addresses the field’s identity and macro-theories; 2) ‘The Individual,’ including the founder’s cognition, emotion, and resilience; 3) ‘The Organization,’ which encompasses strategy, teams, and innovation; and 4) ‘Execution and Resource Environment,’ dealing with resource mobilization and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the ‘CORE’ integrated educational framework, which connects these four domains to ‘Conceptual foundations,’ ‘Ownership & Mindset,’ ‘Resource & Strategy,’ and ‘Ecosystem engagement,’ respectively. This study hold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as it systematically restructures the core intellectual assets of the entrepreneurship field, thereby provid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future systematic accumulation of knowledge. Furthermore, it presents a concrete blueprint for an educational model capable of cultivating learners’ integrative thinking skills, moving beyon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fragmented approache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975-7557 2671-9509 |
DOI: | 10.16972/apjbve.20.4.2025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