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개발전담주치의 사업의 성과평가 지표 개발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직업훈련 참여 확대를 목적으로 설계된 능력개발전담주치의 사업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성과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정부는 중소기업의 인적 역량 강화를 위해 능력개발전담주치의 사업을 2023년부터 시행하였다. 그러나 현재 사업의 성과평가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량적 실적 목표 달성에 초점을 맞추어 측정되고 있어서, 종합적인 성과평가 지표체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성과지표 개발을 위해서 논리모형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고, 문헌분석을 통해 예비지표를 구성한 후 초점집단면접(FGI), 내용타당도지수(CVI...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5(8) pp. 629 - 638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8.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직업훈련 참여 확대를 목적으로 설계된 능력개발전담주치의 사업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성과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정부는 중소기업의 인적 역량 강화를 위해 능력개발전담주치의 사업을 2023년부터 시행하였다. 그러나 현재 사업의 성과평가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량적 실적 목표 달성에 초점을 맞추어 측정되고 있어서, 종합적인 성과평가 지표체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성과지표 개발을 위해서 논리모형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고, 문헌분석을 통해 예비지표를 구성한 후 초점집단면접(FGI), 내용타당도지수(CVI), 계층구조분석(AHP)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략목표별 핵심성과지표 12개를 최종 도출하였고, 지표별 가중치를 산출하여 평가의 실효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성과 중심의 사업관리 체계 구축에 기여하며, 중소기업 직업훈련 지원정책의 평가 기반 마련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Competency Development Consulting Program (CDCP), launched in 2023 to enhance HRD in SMEs. The current evaluation of the program focuses on achieving quantitative performance targets, and a comprehensive performance indicator system is lacking. This study developed performance indicators using literature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s, expert validity verification (CVI), and hierarchical analysis (AHP) Performance is measured mainly by quantitative targets, lacking a comprehensive system. Using literature review, FGI, CVI, and AHP, 32 indicators were derived, and 12 key indicators were selected. The most important was the “3% increase in participating firms,” followed by the “HRD consultant certification rate” and “training participation rate.” This study offers a foundation for systematic program evaluation and future policy use.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4877 2508-6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