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부모 사별로 인한 심리 정서적 어려움으로 자해 및 학업중단을 경험한 다문화가정 청소년 사례 연구

본 연구는 아버지와의 사별로 인한 심리 정서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자해를 시도하고 학업을 중 단하게 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들 청소년들의 경험을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탐색 하고 그 지원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의 직접적인 목 소리를 통하여 그들의 경험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므로 질적 연구 방법 중에서도 내 러티브 탐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들이 겪은 아버지의 죽음이 자해까지 하게 만들 정도로 큰 트라우마를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주변 어른들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다문화와 평화, 19(2) pp. 25 - 43
Main Author 심미경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다문화평화연구소 01.08.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92-576X
DOI10.22446/mnpisk.2025.19.2.00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아버지와의 사별로 인한 심리 정서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자해를 시도하고 학업을 중 단하게 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들 청소년들의 경험을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탐색 하고 그 지원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의 직접적인 목 소리를 통하여 그들의 경험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므로 질적 연구 방법 중에서도 내 러티브 탐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들이 겪은 아버지의 죽음이 자해까지 하게 만들 정도로 큰 트라우마를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주변 어른들이나 학교 의 관심이나 지원을 충분히 받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는 공통점을 드러내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 들은 자신들이 겪은 일에 대한 충격과 이로 인한 변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도움을 필요로 하였으나 이런 어려움을 공감하고 상황을 설명해주며 지지를 보내주는 주변인이 없었음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들이 겪은 일에 대한 슬픔과 애도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않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자신들에 게 일어난 변화에 따른 적응에 필요한 시간을 가질 수 없었던 아쉬움을 토로하고 있었다. 본 연 구의 결과는 주변의 이해 및 배려의 부족과 정서적 지지의 부재가 부모와의 사별 등으로 혼란과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청소년들에게 자해 및 학업중단까지 이르게 하는 정서적, 행동적인 부적응을 심화시킬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llenges experienced by multicultural youths with father bereavement.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two volunteer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been living in C city over 15 year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ptions, narrative inquiry was conducted for a period of three months. Also,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as well to grasp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in the broad con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father bereavement face the emotional difficulties such as depression, detachment, anger and depressions. The research participants also had to deal with guilty conscience about the cause of their fathers’ death. The research participants wanted to get enough time to mourn and cope with the situation, but they did not feel that they were given enough time and support. motional support. Rather, they felt lack of people’s sensitivity on their loss and lack of support system.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clues for the demand of better support systems and social services for multicultural youths who experience challenges due to father bereavement. KCI Citation Count: 0
ISSN:2092-576X
DOI:10.22446/mnpisk.2025.19.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