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내 고려인을 지원하는 NGO 단체장들의 활동경험과 실천과정 연구
본 연구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한국 사회 내 고려인공동체의 형성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 행한 NGO 단체장들의 활동경험을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단체장들이 다양한 사 회적・제도적 제약 속에서도 지역사회와의 협력, 정책 대응, 언어・문화 교육, 신뢰 형성 등 공동 체 기반 조성을 위한 실천적 전략을 어떻게 수행해왔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는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을 분석틀로 사용하였으며, FGI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6개의 범주와 18개의 하위범주, 6...
Saved in:
Published in | 다문화와 평화, 19(2) pp. 107 - 137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다문화평화연구소
01.08.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2-576X |
DOI | 10.22446/mnpisk.2025.19.2.006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한국 사회 내 고려인공동체의 형성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 행한 NGO 단체장들의 활동경험을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단체장들이 다양한 사 회적・제도적 제약 속에서도 지역사회와의 협력, 정책 대응, 언어・문화 교육, 신뢰 형성 등 공동 체 기반 조성을 위한 실천적 전략을 어떻게 수행해왔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는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을 분석틀로 사용하였으며, FGI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6개의 범주와 18개의 하위범주, 62개의 세부개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단체장들은 고려인공동체 내부의 문화적 이질성과 언어장벽, 비자 문제, 공공지원의 사각 지대 등 복합적인 문제를 인식하고, 지역 내 네트워크 구축, 자조모임 조직, 정책적 개입 노력, 상호신뢰 형성 활동 등을 통해 이를 능동적으로 극복해 나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웽 거의 실천공동체 이론, 퍼트남의 사회적 자본 이론, 부르디외의 실천이론으로 해석하여 고려인 NGO 단체장들의 활동을 단순한 지원 행위를 넘어선 사회적 실천이자 공동체 형성의 핵심 동력 으로 재조명하였다. 이를 통해 이주민 공동체 형성과정에서 NGO 리더의 실천적 리더십이 갖는 사회적 함의와 정책적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lived experiences of NGO leaders who have played a central role in building Korean-Russian Koryoin communities in South Korea, particularly following the outbreak of the war in Ukraine. Focusing on how these leaders respond to linguistic, cultural, institutional, and legal challenges, the study highlights their practical strategies for community formation—such as establishing networks, initiating self-help groups, implementing educational programs, and fostering mutual trust with local residents. Using the paradigm model of grounded theory proposed by Strauss & Corbin (1998), the research identifies six core categories, fifteen subcategories, and fifty detailed concept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The findings reveal that NGO leaders are not merely service providers but serve as key agents of social practice and community resilience. Drawing upon theoretical frameworks including Wenger’s Communities of Practice, Putnam’s theory of Social Capital, and Bourdieu’s Theory of Practice, this study reinterprets the actions of NGO leaders as transformative practices that contribute to the reconfiguration of marginalized immigrant communities. It emphasizes the need for more inclusive policies and local-level support that recognize and strengthen the leadership capacities of such grassroots actor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092-576X |
DOI: | 10.22446/mnpisk.2025.19.2.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