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방임적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만족도의 종단적 관계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방임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만족도 간의 종 단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제2기 자료 중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개년에 걸친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결측치를 제외한 1,81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SPSS 27.0과 AMO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Saved in:
Published in | 다문화와 평화, 19(2) pp. 1 - 24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다문화평화연구소
01.08.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2-576X |
DOI | 10.22446/mnpisk.2025.19.2.001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방임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만족도 간의 종 단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제2기 자료 중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개년에 걸친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결측치를 제외한 1,81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SPSS 27.0과 AMO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방임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만족도는 모두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 변인의 수준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자기회귀 경 향을 보였다. 둘째, 교차지연효과 분석 결과, 방임적 양육태도는 이후 시점의 자아존중감과 학 교생활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은 이후 시점의 방임적 양육태도와 학 교생활 만족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 만족도 역시 이후 시점 의 자아존중감과 방임적 양육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주요 심리사회적 요인이 시간에 따라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순환적 관계 에 있음을 시사하며,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해 자아존중감 증진 및 양 육환경 개선을 포함한 통합적이고 지속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neglectful parenting, self-estee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ata were drawn from the second wav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using three years of data from 2020 to 2022. After excluding missing cases,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1,812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and AMOS 27.0, employ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CLM).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neglectful parenting, self-estee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s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demonstrated significant autoregressive effects, indicating relative stability of these variables over time. Second, cross-lagged analysis revealed that neglectful parenting negatively influenced subsequent self-estee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hile self-esteem significantly predicted later levels of both neglectful parenting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School life satisfaction also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ubsequent self-esteem and perceptions of neglectful parent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key psychosocial factor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dynamically interrelated over tim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and sustained interventions —such as enhancing self-esteem and improving parenting environments—to promote greater school life satisfaction among multicultural youth.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092-576X |
DOI: | 10.22446/mnpisk.2025.19.2.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