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주로형 횡단보도의 교통안전 개선 효과 분석

본 연구는 야간 보행자 안전 확보를 위해 설치된 활주로형 횡단보도의 설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경상북도 보행 취약지역 8개 지점을 대상으로 활주로형 횡단보도를 설치하고 설치 전과 후의 차량 주행속도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야간 시간대(19시~21시)에 수집하였으며, 평균 주행속도 변화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9개 조사지점 중 8개 지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속도 감소가 나타났고, 전체 평균 주행속도는 26.5km/h에서 20.9km/h로 약 5.6km/h의 평균 주행속도 감소효과를 확인할 수 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14(4) pp. 573 - 584
Main Authors 김동협, 한대철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01.08.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25.08.1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야간 보행자 안전 확보를 위해 설치된 활주로형 횡단보도의 설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경상북도 보행 취약지역 8개 지점을 대상으로 활주로형 횡단보도를 설치하고 설치 전과 후의 차량 주행속도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야간 시간대(19시~21시)에 수집하였으며, 평균 주행속도 변화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9개 조사지점 중 8개 지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속도 감소가 나타났고, 전체 평균 주행속도는 26.5km/h에서 20.9km/h로 약 5.6km/h의 평균 주행속도 감소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지점에서 설치 후 소도 분포의 편차가 줄어들어 운전자들의 감속 반응이 일관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활주로형 횡단보도가 시각적 주의를 통해 운전자들에게 특정지점으로 진입하고 있다는 정보를 제공하여 주행속도 감속을 유도함으로써 보행자 안전성 제고에 기여함을 의미한다. 향후 다른 안전지설과의 연계, 지역 특성을 반영한 시설 설계, 주민 참여를 통한 시설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runway-style crosswalks installed to enhance pedestrian safety at night. Runway-style crosswalks were installed at eight pedestrian-vulnerable sites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vehicle speeds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were collected. Data were gathered during nighttime hours (7:00 PM to 9:00 PM), and changes in average driving speeds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speed at 8 out of 9 sites, with the overall average speed decreasing from 26.5 km/h to 20.9 km/h—a reduction of approximately 5.6 km/h. In most locations, speed variance also decreased, indicating more consistent deceleration behavior among driv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unway-style crosswalks provide visual cues that alert drivers to the presence of a crossing zone, effectively encouraging speed reduction and enhancing pedestrian safety. Going forward,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facility’s effectiveness by integrating it with other safety measures, tailoring designs to local characteristics, and promoting community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nciss.or.kr/xml/xmldom.asp?xmlidx=NCISS1143_1510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