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告身에 기재된 傍書에 관한 고찰

조선시대 관원 임명장인 고신(告身)에 기재된 방서(傍書)란 임명장 연월일 좌우에 작은 글자로 달아놓은 문구를 말한다. 연월일의 양 옆에 달았다고 해서 연호방서(年號傍書), 또 교지의 본문 글자 크기와달리 크기가 작다고 하여 소자방서(小字傍書)라고도 부른다. 방서로 적힌 글자들은 대개 임명장의 본문임명내용이 있게 된 근인(根因)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동안 고신에 적힌 방서 자료는 조선 전기의 가자(加資) 및 대가(代加)제도, 잉자(仍資) 등의 연구에이용된 바 있다. 그리고 개인의 관력 연구 시 개인의 관력 변화과정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백산학보, 0(132) pp. 397 - 431
Main Author 유지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백산학회 01.08.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7109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조선시대 관원 임명장인 고신(告身)에 기재된 방서(傍書)란 임명장 연월일 좌우에 작은 글자로 달아놓은 문구를 말한다. 연월일의 양 옆에 달았다고 해서 연호방서(年號傍書), 또 교지의 본문 글자 크기와달리 크기가 작다고 하여 소자방서(小字傍書)라고도 부른다. 방서로 적힌 글자들은 대개 임명장의 본문임명내용이 있게 된 근인(根因)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동안 고신에 적힌 방서 자료는 조선 전기의 가자(加資) 및 대가(代加)제도, 잉자(仍資) 등의 연구에이용된 바 있다. 그리고 개인의 관력 연구 시 개인의 관력 변화과정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자료로도 이용되고 있다. 이 방서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매우 다양한 사례와 내용들이 담겨 있으며, 기록된 문자와 용어들은 인사제도의 운영과정 상에서 만들어진 용어로서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 조선시대 법전류에서도 동일하게 확인할 수 있는 용어들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조선시대 인사제도의 운영양상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방서에 대한 고찰도 함께 다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임명문서에 기재된 방서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모든 임명장을 수집하여방서가 기재되기 시작한 시기, 기재방식, 기재내용 등을 살펴보고 기재의 목적을 상고해 보고자하였다. 고신의 기재요소로서 방서가 등장하고 작성 양식이 정착된 시기는 문무관에게 발급하는 고신에 적힌 사가(仕加), 별가(別加)(1470년이 시작) 등의 경우와 문무관 처 고신 및 추증교지에 적힌 경우가 달랐다. 임명장의 서식은 『경국대전(經國大典)』 예전(禮典)에서 확인해 볼 수 있는데 방서에 대한 규정이정조대에 편찬된 『대전통편(大典通編)』에서 언급되기 시작하여 『전율통보(典律通補)』에 좀 더 상세히기재되어 있다. 이를 통해 그 방서의 양식을 살펴보면 연호의 왼쪽에 기록한다는 등재 내용과는 다르게나타난다. 즉 실제문서 확인결과 동반(東班) 관계와 관직을 수여하는 고신의 경우 연호년월의 좌방(左 傍)에, 서반(西班) 관계와 관직을 수여하는 고신의 경우 우방(右傍)에 기재하였다. 내용이 많은 경우년월을 중심으로 각각 왼쪽, 오른쪽을 향해 줄을 넘겨 써 내려갔으며, 글자의 기록시작점은 대개 연호글자보다 한 글자나 두 글자 낮게 시작하여 작성했고, 중국연호보다 높여야 하는 글자들은 더 높여서시작하여 쓰거나 대두와 격자를 통해 높임을 표시하였다. 줄을 바꾸어 대두함으로써 높인 글자는 묘호(廟號), 존호(尊號), 능호(陵號), 중궁전(中宮殿), 승전(承傳)‧전교(傳敎) 등의 전(傳), 판하(判下), 계(啓), 령(令), 증(贈), 하(賀), 지방(紙榜), 애책(哀冊), 봉교(奉敎)였으며, 글자 사이를 띄워 격자한 글자는 계(啓), 추증(追贈)의 증(贈), 은(恩), 사(社) 등이었다. 이중 추증(追贈)의 증(贈)은 때에 따라 대두하기도하지만 대부분 대두하지 않고 격자로 표시하였다. 방서를 내용별로 분류해보면 가자(加資), 등과(登科), 예가(例加), 사가(仕加), 사만(仕滿), 제수(除 授), 승수(陞授), 승서(陞敍), 승탁(陞擢), 특승(特陞), 특제(特除), 상가(賞加), 상직(賞職), 잉자(仍資), 잉임(仍任), 상환(相換), 증직(贈職), 복관(復官), 사급(賜給), 납속(納粟), 가설(加設), 봉작(封爵), 미상, 수개(修改), 개명(改名), 종부직(從夫職), 추증(追贈) 등 27목이 있었으며, 이 중에 가자(加資)를 2차적으로다시 분류해보면 별가(別加), 별대가(別代加), 음가(蔭加), 음... Annotation[Bangseo: 傍書] written in the 告身, the certificate of appointment of government officials in the Joseon Dynasty, refers to small lette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ate of issuance of the certificate of appointment. In the Joseon Dynasty, the year of issuance was written in Chinese Yeonho, not in kanji, and it is also called Yeonho Bangseo because it is very small unlike the size of the text of the school paper, and is also called Soja Bangseo because it is very small in size. Texts written in Bangseo are usually written down the contents of Geunin(根因), which has been appointed in the text of the appointment letter. Until now, Bangseo has been used in the study of Gaza(加資) and Daega(代加) systems and Ing-ja (仍資)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is also used as data to clearly understand the process of changing an Official Calendar when studying an individual's Official Calendar. Looking at this Bangseo as a whole, it is very diverse, and the recorded characters are a term created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personnel system and can be identified in the same way in the official historical records and law books of the Joseon Dynasty. With these characteristics, it seems that consideration of Bangseo should also be dealt with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operational aspects of the personnel system in the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in order to comprehensively review Bangseo, all Joseon Dynasty appointment letters will be collected to examine the timing, writing method, and contents of the Bangseo. In addition, we tried to examine the purpose of the recording by comparing the documents recorded in Bangseo with those not recorded. The appearance of Bangseo was established at different times for the appointment of civil servants (starting its appearance in 1470) and the appointment of 追贈 and 從夫職 (starting its appearance in 1546). The format of the letter of appointment can be found in 『GyeongGuk DaeJeon(經國大 典)』. However, the record of Bangseo began to be mentioned in 『DaeJeon TongPyeon(大典通編)』compiled in King Jeongjo's reign, and the Bangseo method was written in more detail in the 『JeonYul TongBo(典律通補)』(completed in 1876). Through this, if you look at the Bangseo method, unlike the registration content that it is recorded on the left side of the Yeonho(年號), the Bangseo issued by Ijo(吏曹) was recorded in the Left side of the Yeonho month, and the Bangseo issued by Byeongjo(兵曹) was recorded in the Right side. If there are many contents, the lines were changed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the starting point of writing was usually written one or two letters lower than the Chinese Yeonho letter, and the letters that had to be higher than the Chinese Yeonho started higher or were marked higher through writing on the rise(DaeDu:擡頭) and Word spacing(隔字). The letters raised by changing the lines are 廟號, 尊號, 陵號, 中宮殿, 承傳‧傳 敎’s 傳, 判下, 啓, 令, 贈, 賀, 紙榜, 哀冊, 奉敎. Spaced letters were 啓, 追贈’s 贈, 恩, 社. Among them, the 贈 of the 追贈 is sometimes marked with DaeDu(擡頭), but most of them are marked with spaces. If you classify Bangseo by content, there are 27 items including Ga-Za(加資), Deung-Gwa(登科), Ye-Ga(例加), Sa-Ga(仕加), serve one's term in office(仕滿), give a government post(除授), Seung-Su(陞 授), Seung-Seo(陞敍), Seung-tak(陞擢), Special ride(特陞), Special offer(特除), Sang-Ga(賞加), give a government post as a reward(賞職), Ing-ja(仍資), keep one's office intact(仍任), exchange government posts(相換), raise one's office after one's death(贈職), recover one's official work(復官), grant(賜給), Nap-sok(納粟), Ga-seol(加設), give a title to(封爵), Re-creating documents(修改), Renaming(改名), follow one's husband's post(從夫職), raise one's ancestors in line with one's descendants(追贈)...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7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