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의 신체상 왜곡에 대한 심리·행동적 영향 요인 분석: 일반적 특성, 건강행동, 정신건강 중심으로

목적 :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신체상 왜곡정도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 건강행동 특성, 정신건강 상태와 신체상 왜곡 간의 관련성 및 주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방법 : 2024년 제20차 한국 청소년 위험 행동 웹 기반 조사(20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의 원시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는 일반적 특성(성별, 학업 성취도, 경제적 지위 인식), 건강 행동(체중 조절 시도, 신체 활동, 알코올 사용), 정신 건강 지표(스트레스, 우울증, 자살 생각), 부모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통합의학회지, 13(3) pp. 179 - 193
Main Authors 이인숙, 최병희, 유명산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통합의학회 01.08.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1174
2383-9651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신체상 왜곡정도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 건강행동 특성, 정신건강 상태와 신체상 왜곡 간의 관련성 및 주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방법 : 2024년 제20차 한국 청소년 위험 행동 웹 기반 조사(20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의 원시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는 일반적 특성(성별, 학업 성취도, 경제적 지위 인식), 건강 행동(체중 조절 시도, 신체 활동, 알코올 사용), 정신 건강 지표(스트레스, 우울증, 자살 생각), 부모의 교육 수준과 가족 구조 등 가족 환경 요인 등 다양한 변수를 활용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다문화 가정을 제외한 전국 중고등학교 학생 52,718명이다. 결과 :신체상 왜곡은 여학생,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 경제적 지위를 낮게 인식하는 학생들에서 왜곡의 위험이 높았다. 체중 감량을 시도하거나 신체 활동이 부족한 청소년은 왜곡 위험이 더 높았다. 또한 주관적 건강 인식이 낮은 학생, 음주경험이 있는 학생, 자살 생각이 있는 학생은 신체상 왜곡의 위험이 높았다. 결론 : 이 연구는 청소년기의 신체상 왜곡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변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건강한 신체상과 정신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한 맞춤형 교육 전략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valence of and influencing factors for body image distor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Body image distortion can lead to unhealthy behaviors and psychological risks, such as low self-esteem, disordered eating, and emotional distress. However, few studies have comprehensively explored these issues in Korea using large-scale, representative data. This research aims to fill this gap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family factors and body image distortion during this critical developmental period. Methods: Utilizing raw data from the 20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24), this study examines variable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economic status,) health behaviors (weight control attempts, physical activity, alcohol use,) mental health indicators (str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family environment factors (parental education and family structure.) The sample consisted of 52,718 student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Korea, excluding thos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body image distortion is more prevalent among female students, those with lower academic achievement, and those who perceive their economic status as low. Adolescents who attempted to lose weight or engaged in insufficient physical activity were at higher risk of distortion. Additionally, students with poo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history of alcohol use, or suicidal ideation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report body image distortion. Conclusion: This study underscores the multifaceted nature of body image issues in adolescence, highlighting the interplay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variables. By incorporating often-overlooked family background factors, this study offers a more systematic and realistic understanding of body image distortion. The result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developing targeted educational strategies aimed at promoting healthy body perception and improving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KCI Citation Count: 0
ISSN:2288-1174
2383-9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