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가뭄 영향의 사회경제적 결정 요인 분석: 비상 급수 인구수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가뭄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분석하고 특히 대한민국의 생활 가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도출하며, 향후 생활 가뭄 대응력을 제고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검토를 통해 가뭄 피해의 사회경제적 요인들을 선별하고, 국가통계포털(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과 중요도 분석을 통해 주요 요인의 우...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58(8) pp. 657 - 671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수자원학회
01.08.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99-8746 2799-8754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가뭄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분석하고 특히 대한민국의 생활 가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도출하며, 향후 생활 가뭄 대응력을 제고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검토를 통해 가뭄 피해의 사회경제적 요인들을 선별하고, 국가통계포털(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과 중요도 분석을 통해 주요 요인의 우선순위를 밝힌다. 중요도 분석은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 MLP)과 엑스지부스트 알고리즘(XGBoost Algorithm)을 활용한다. 분석 결과, 전국적으로 비상 급수 인구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사회경제적 요인은 고령인구 비율, 농업 종사자 비율, 5세 이하 인구 비율, 그리고 기초생활 수급자 비율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발전의 불균형, 농촌사회의 고령화, 그리고 취약계층의 재해 및 재난 노출 취약성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고령화를 고려하여 고령인구의 재난 대응력 향상을 위한 제도적 울타리 강화를 중시한다. 또한, 지역 내 취약계층의 재해 및 재난 노출도를 저감하고 이들을 위한 보호 정책 마련의 시급성과 지속성을 강조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influencing drought damage, with a particular focus on identifying those affecting domestic drought in Republic of Korea. Ultimately, it proposes policy implications to enhance response strategies and resilience to domestic drought.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reviews existing literature to establish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drought vulnerability. It then employ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feature importance to prioritize these determinants based on open data provided by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The feature importance is conducted using Multi-Layer Perceptron (MLP) and XGBoost Algorithm.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imary socioeconomic determinants influencing the number of individuals requiring emergency water supply at the national level include percentage of elderly population, percentage of agricultural workers, percentage of population under 5 years old, and percentage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sparities in regional development, the aging of rural communities, and the heightened vulnerability of at-risk populations contribute significantly to drought susceptibility and exposure. Given the rapid aging of rural populations,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sustained institutional interventions to enhanc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mong elderly population, reduce the exposure of vulnerable populations to drought and related hazards, and implement protective policies to safeguard these at-risk group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799-8746 2799-87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