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습검사에서 회상 시점 및 시계열 위치에 따른 청년층과 노년층 간 계열적 군집화 전략 비교

목적: 본 연구는 언어학습검사를 통해 회상 시점(즉각, 지연) 및 계열위치(초반, 중반, 후반)에 따른 정상 청년층과 노년층의 계열위치 효과와 계열적 군집화 전략을 비교하여 연령에 따른 언어학습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정상 청년층 20명, 정상 노년층 20명을 대상으로 서울언어학습검사를 실시하였다. 회상 시점에 따라 즉각 회상과 지연 회상 과제로 구분하였으며, 회상 정확도(%)와 계열적 군집화 비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즉각 회상과 지연 회상 모두에서 청년층이 노년층보다 높은 회상 정확도를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즉...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34(3) pp. 13 - 22
Main Authors 음세은, 장하나, 임채원, 고효정, 박지민, 성지은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7.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언어학습검사를 통해 회상 시점(즉각, 지연) 및 계열위치(초반, 중반, 후반)에 따른 정상 청년층과 노년층의 계열위치 효과와 계열적 군집화 전략을 비교하여 연령에 따른 언어학습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정상 청년층 20명, 정상 노년층 20명을 대상으로 서울언어학습검사를 실시하였다. 회상 시점에 따라 즉각 회상과 지연 회상 과제로 구분하였으며, 회상 정확도(%)와 계열적 군집화 비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즉각 회상과 지연 회상 모두에서 청년층이 노년층보다 높은 회상 정확도를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즉각 회상에서의 정확도가 지연 회상보다 낮았다. 계열위치 효과 분석 결과, 즉각 회상 시 노년층이 후반부 항목에서 가장 높은 회상 정확도를 보였다(후반>초반>중반). 회상 시점과 계열위치 간 유의한 이차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중반부에서 즉각 회상과 지연 회상 간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계열적 군집화 비율은 청년층이 노년층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노년층은 즉각 회상에서 두드러진 초두효과와 최신효과를 보이며 계열위치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노년층에서 나타난 높은 최신효과는 노년층이 후반부 단어목록을 기억하는 데 단기 기억을 청년층보다 많이 의존한다는 선행 연구와 일치한다. 또한 노년층의 계열적 군집화 비율이 청년층보다 낮게 나타나, 정보를 순서대로 기억하고 체계적으로 조직화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인다는 선행 연구를 뒷받침한다. 본 연구는 언어학습검사를 통해 노화에 따른 즉각 회상과 지연회상에서의 기억 책략의 차이를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serial position effects and serial clustering strategies in verbal memory performance in younger and older adults, focusing on recall time points (immediate vs. delayed) and serial positions (primacy, middle, recency) to identify age-related differences in memory recall performance. Methods: A total of 40 participants (20 younger and 20 older adults) completed the Seoul Verbal Learning Test, which included immediate and delayed recall tasks. Recall accuracy (%) and serial clustering ratios were measured. Results: Younger adult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recall accuracy than older adults in both immediate and delayed recall tasks. Both age groups exhibited higher recall accuracy in delayed recall compared to immediate recall. In immediate recall, older adults showed a recency effect (recency>primacy>middle).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recall condition and serial position was found, with a pronounced difference in recall accuracy for middle-position items between immediate and delayed recall. Additionally, younger adult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serial clustering ratios compared to older adults, indicating aging effects on the use of serial clustering strategies during recall. Conclusions: Older adults show a prominent primacy effect and recency effect in immediate recall, demonstrating the serial position effects. Notably, their increased recency effects align with the previous research suggesting that older adults rely more on short-term memory to recall recency items. Additionally, the lower serial clustering ratios in older adults support prior findings indicating difficulties in temporally organizing informat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ging on mnemonic strategies across immediate and delayed recall task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jslhd.org/
ISSN:1226-587X
2671-7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