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제국의 폐쇄적 피드백 루프와 ‘기계 신부’의 귀환: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여성 재현
이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기술매개 젠더폭력으로서 딥페이크 성범죄를 매클루언의 ‘기계 신부(mechanical bride)’의 개념을 통해 분석하면서 인공지능의 젠더 편향적 인프라로서의 성격을 가시화하였다. 미국 중심의 AI 인프라 구축 과정과 인식론적 편향성은 트럼프 행정부의 AI 프로젝트와 젠더 관련 행정 명령, 머스크의 정책적 실천의 사례와 연관되어 있다. 이는‘AI 제국’ 논의로 설명되는데, 인종, 성별, 인간-비인간 위계를 작동시키면서 타자를 노예화한다는 점에서 제국의 역사적 맥락과 맞닿아 있으며, 생물학적 본질주의에...
Saved in:
Published in | 언론정보연구, 62(3) pp. 93 - 138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언론정보연구소
01.08.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6195 2508-8629 |
DOI | 10.22174/jcr.2025.62.3.93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기술매개 젠더폭력으로서 딥페이크 성범죄를 매클루언의 ‘기계 신부(mechanical bride)’의 개념을 통해 분석하면서 인공지능의 젠더 편향적 인프라로서의 성격을 가시화하였다. 미국 중심의 AI 인프라 구축 과정과 인식론적 편향성은 트럼프 행정부의 AI 프로젝트와 젠더 관련 행정 명령, 머스크의 정책적 실천의 사례와 연관되어 있다. 이는‘AI 제국’ 논의로 설명되는데, 인종, 성별, 인간-비인간 위계를 작동시키면서 타자를 노예화한다는 점에서 제국의 역사적 맥락과 맞닿아 있으며, 생물학적 본질주의에 기반한 이분법적 성별 구분에 기반하여 여성을 제한적으로 재현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매클루언의 ‘기계 신부’ 논의는 시각 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여성 신체가 표준화, 파편화, 사물화되어 온 과정을 밝히고, 여성화된 기계에 대한 사회적 불안과 여성의 타자화를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생태계의 특성을 피드백 루프의 폐쇄성과 생성의 자동화, 텔레그램, 암호화폐 등의 역외 정치경제 시스템의 젠더화를 통해 설명한다. 이러한 특성은 여성-기계의 결합과 생성, 유통을 지속하게 하면서 윤리의 문제를 부상시킨다. 이 글은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여성 재현을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해석하면서 AI가 ‘단지 기계’가 아닌 인지적, 정서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여성’을 구성하고 있는 복합적인 인프라 체제임을 주장하였다. 또한 지배적인 미디어 양식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분석을 통해 누적된 데이터이자 생성되는 데이터로써 인공지능 시대 여성 재현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사회적 개입의 지점을 모색하고자 했다.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female data-such as deepfake sexual violence-in the context of generative AI by revisiting McLuhan’s concept of the Mechanical Bride, interpreting AI as a gender-biased infrastructure. It explores how gender, technology, and society intersect within an AI ecosystem shaped by technocratic projects such as those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the rollback of gender policies, and Elon Musk’s visions of AI and automation. Framed as part of an “AI Empire” grounded in heteropatriarchy and racial capitalism, this ecosystem reinforces imperial hierarchies through technocracy and data-driven meritocracy. McLuhan’s Mechanical Bride reveals how the female body is standardized and objectified in this system, while the convergence of women and machines reflects a legacy of domination that blurs boundaries between the human and the machine. The study highlights how platforms like Telegram or cryptocurrency help automate and commodify female data, arguing that AI is not just a technical tool but a sociotechnical infrastructure that produces “women” across emotional, cognitive, and cultural dimensions. Through this lens, the article offers a political-economic critique of gendered media infrastructures and suggests sites for social interventio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738-6195 2508-8629 |
DOI: | 10.22174/jcr.2025.62.3.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