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은 이색의 천관(天觀) - 그의 시에 드러난 사명(竢命)관을 중심으로

전통사회에서 하늘[天]은 푸른 공간을 가리키는 이외에 만물의 조화옹, 생사와 화복의 주재자, 지존자, 보편적 입법의 최종 권위이며, 가치의 궁극적 근원으로 이해되었다. 여말선초의 성리학자 목은의 문집에 수록된 군자를 읊은 시 30여 수를 비롯하여 8,000여 편의 시 가운데 하늘[天], 하늘의 길[天道], 하늘의 명령[天命], 하늘의 이치[天理]에 대한 관념이 나타난다. 이는 그의 지천(知天)이고 사천(事天)이며 조리(造理)이고 이사(履事)이다. 그가 지닌 삶의 신념은 『중용』과 『주역』에 담긴 하늘에 대한 성리학적 해석에서 찾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Yulgok sasang yŏn'gu pp. 123 - 144
Main Author 박경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사)율곡학회 01.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8236
2713-7236
DOI10.35436/yulgok.2025.60..123

Cover

Abstract 전통사회에서 하늘[天]은 푸른 공간을 가리키는 이외에 만물의 조화옹, 생사와 화복의 주재자, 지존자, 보편적 입법의 최종 권위이며, 가치의 궁극적 근원으로 이해되었다. 여말선초의 성리학자 목은의 문집에 수록된 군자를 읊은 시 30여 수를 비롯하여 8,000여 편의 시 가운데 하늘[天], 하늘의 길[天道], 하늘의 명령[天命], 하늘의 이치[天理]에 대한 관념이 나타난다. 이는 그의 지천(知天)이고 사천(事天)이며 조리(造理)이고 이사(履事)이다. 그가 지닌 삶의 신념은 『중용』과 『주역』에 담긴 하늘에 대한 성리학적 해석에서 찾을 수 있다. 그는 중정(中正)과 위육(位育)을 지향한다. 그리고 ‘모든 존재자들이 각각 제자리를 얻는다[各得其所]’라는 명제가 함의하는 완전한 평화가 조화옹의 뜻이라 믿는다. 또한 화복(禍福)으로서의 명(命)은 하늘의 주권에 속하는 것으로 기다리고 받아들이고 순종하는 것일 뿐 원망이나 탓할 내용도 대상도 아니라고 한다. 공동체 구성원의 안위(安危)를 위하여 지성으로 하늘에 간구할 수는 있어도 개인적 생사나 수요 화복은 기도할 곳이 없다는 태도를 견지하였다. 그리고 하늘과 짝을 이루는 삶을 살고자 하였다. 그는 이를 사명(竢命)과 순생(順生)이라 하였다. In traditional society, in addition to referring to the blue space, the sky (天) was understood as the harmonious host of all things, the master of life and death, fortune and misfortune, the supreme being, the final authority of universal legislation, and the ultimate source of value. In the collected works of Mok Eun, a Neo-Confucian scholar of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including about 30 poems praising gentlemen, the concepts of sky (天), the way of heaven (天道), the command of heaven (天命), and the principle of heaven (天理) appear. Mok-eun’s beliefs in life can be found in the Neo-Confucian interpretation of the Tian contained in the Book of Changes and Golden Mean. These two scriptures are rich in the content of Confucian metaphysical transcendence, including the heavenly command, the God and the Deity. The command of heaven, and the reason of heaven, are the central themes of Neo-Confucianism. Therefore that is called as the study of Heaven and the study of serving Heaven. Mok-eun believes that the full peace of 'everything gets its own proper place' is the will of Tian as the Creator. In addition, the fortune belongs to Heaven's sovereignty, and it is only to wait, to accept, and to obey, and it is not subject to resentment or blame. Therefore, there was no place to pray for long life or welfare. Through the study and discipline of believing and practicing the mandate of heaven, he tried to live a life paired with heaven. He called it waiting the Mandate(竢命) and obeying the reason of life(順生).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전통사회에서 하늘[天]은 푸른 공간을 가리키는 이외에 만물의 조화옹, 생사와 화복의 주재자, 지존자, 보편적 입법의 최종 권위이며, 가치의 궁극적 근원으로 이해되었다. 여말선초의 성리학자 목은의 문집에 수록된 군자를 읊은 시 30여 수를 비롯하여 8,000여 편의 시 가운데 하늘[天], 하늘의 길[天道], 하늘의 명령[天命], 하늘의 이치[天理]에 대한 관념이 나타난다. 이는 그의 지천(知天)이고 사천(事天)이며 조리(造理)이고 이사(履事)이다. 그가 지닌 삶의 신념은 『중용』과 『주역』에 담긴 하늘에 대한 성리학적 해석에서 찾을 수 있다. 그는 중정(中正)과 위육(位育)을 지향한다. 그리고 ‘모든 존재자들이 각각 제자리를 얻는다[各得其所]’라는 명제가 함의하는 완전한 평화가 조화옹의 뜻이라 믿는다. 또한 화복(禍福)으로서의 명(命)은 하늘의 주권에 속하는 것으로 기다리고 받아들이고 순종하는 것일 뿐 원망이나 탓할 내용도 대상도 아니라고 한다. 공동체 구성원의 안위(安危)를 위하여 지성으로 하늘에 간구할 수는 있어도 개인적 생사나 수요 화복은 기도할 곳이 없다는 태도를 견지하였다. 그리고 하늘과 짝을 이루는 삶을 살고자 하였다. 그는 이를 사명(竢命)과 순생(順生)이라 하였다. In traditional society, in addition to referring to the blue space, the sky (天) was understood as the harmonious host of all things, the master of life and death, fortune and misfortune, the supreme being, the final authority of universal legislation, and the ultimate source of value. In the collected works of Mok Eun, a Neo-Confucian scholar of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including about 30 poems praising gentlemen, the concepts of sky (天), the way of heaven (天道), the command of heaven (天命), and the principle of heaven (天理) appear. Mok-eun’s beliefs in life can be found in the Neo-Confucian interpretation of the Tian contained in the Book of Changes and Golden Mean. These two scriptures are rich in the content of Confucian metaphysical transcendence, including the heavenly command, the God and the Deity. The command of heaven, and the reason of heaven, are the central themes of Neo-Confucianism. Therefore that is called as the study of Heaven and the study of serving Heaven. Mok-eun believes that the full peace of 'everything gets its own proper place' is the will of Tian as the Creator. In addition, the fortune belongs to Heaven's sovereignty, and it is only to wait, to accept, and to obey, and it is not subject to resentment or blame. Therefore, there was no place to pray for long life or welfare. Through the study and discipline of believing and practicing the mandate of heaven, he tried to live a life paired with heaven. He called it waiting the Mandate(竢命) and obeying the reason of life(順生). KCI Citation Count: 0
Author 박경심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박경심
  organization: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전초빙교수)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3068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CQMTTQMzY1MTbTryzNSc_P1jMyMDLVMzPQ0zM0MmZi4DQyNzTWNTcyNmNh4DQ0N7bQtQCyORh4i4szkwwMDA1NDQwMTDgZol-vWvlmboPCm7lb3jR3vpk7Q-HNpjmvtjRoPF2y8sXyBk0FXYVX23eAxbvnvJk-QeH15Dmv56953TRH4U3TmterWjWer170dOJeTaCeN3NbFN4smfime82bOXteL5zDw8CalphTnMoLpbkZtNxcQ5w9dPOK0uKzkzPj8xMzwXR6fnx2UbxjUIhnvKGBuYmhpZmBMUmKAeOfagc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OI 10.35436/yulgok.2025.60..123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Philosophy
DocumentTitleAlternate What Concept of Tian(天) Did Lee Saek have
EISSN 2713-7236
EndPage 14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741960
GroupedDBID ACYCR
ID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419603
ISSN 1738-8236
IngestDate Thu Aug 07 06:59:02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419603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30684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4196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5-06
PublicationDateYYYYMMDD 2025-06-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5
  text: 2025-06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Yulgok sasang yŏn'gu
PublicationYear 2025
Publisher (사)율곡학회
Publisher_xml – name: (사)율곡학회
SSID ssib001150004
ssj0000740385
ssib022001623
ssib044765234
Score 3.819448
Snippet 전통사회에서 하늘[天]은 푸른 공간을 가리키는 이외에 만물의 조화옹, 생사와 화복의 주재자, 지존자, 보편적 입법의 최종 권위이며, 가치의 궁극적 근원으로 이해되었다. 여말선초의 성리학자 목은의 문집에 수록된 군자를 읊은 시 30여 수를 비롯하여 8,000여 편의 시 가운데...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123
SubjectTerms 기타인문학
Title 목은 이색의 천관(天觀) - 그의 시에 드러난 사명(竢命)관을 중심으로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3068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율곡학연구, 2025, 60(0), 60, pp.123-144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dGjrpRfxE78N6EDrkjWZZDYzx2Q3SxUqHipUPCzJNrvIyi5sdw_rQZaqB-nF4kEPu4hSkNY9SUEP-nOK0uRH-GaS7KallNVLeHmZeR95w8x7yXszCN2msOhCtFNQaTXwVTPQYB5kNV1dY4WgukYIC3xR77z8oLD0yLy_SldnZm9mspa6HT9ffX5sXcn_WBVwYFdRJfsPlh0TBQTAYF-4goXhOpWNsetg28Y2x24R8xJmWi6BHFMAzMAsfcaZfOYQzIvYtUULkfbHsEuxbUoaDNuWRPKcmpNtLOyww_2ZI_sDysJcsIN7Q6IAKGNbAkwwiZuTBAViMirZWdiGWyL4ch07JWA3kSfRw5SdQSxoETO1Y6agQExOBzjrWD_uPqu3Grl1b91r1nM9XKSYlcVxMfVuOqZEP0fDnEp2RLBOaWe_fRA6ydGSo1VKnapCeCKHzSQZQ4jilgRVziUAihYzU70FU7047j1eCSWOQMiuWikuntL1uB468Q70eLfKowuPQU15NE5PKpsXsuYLWj4_7pzd5_vI-ntop-9G9Wml3qo02hWIZ-5VRLoszJHaLDpFLEvmISy_cCf-ri7OsxhPqEQkyGX8WdO0CpQk-_9J18QyxZ9gWSScaB-Xk0r57x4jPbhczXYt43KtnEGnk1hJseOBfxbNNFrn0PzD9PCN3nn0JNzdiYZ9JRruRS_fRMMPSvRtcLDXX9jf3vnzpb-oqMrB9x8SvzmI3r9VwneD8OMo3Bgo0cYo3H298Pvr5_2tX4vQJxq-UqLtrWhzFA1-hp8GF9CdsrtSXFJBMvnCTnhxxkU012w1g0tIoYR6PoTPgQ7aejWd-16NVg0P3EQNghjrMro1BcErU7W6iuYn4_Uamuu0u8F18F47_g1pwb-DkoP-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AA%A9%EC%9D%80+%EC%9D%B4%EC%83%89%EC%9D%98+%EC%B2%9C%EA%B4%80%28%E5%A4%A9%E8%A7%80%29+-+%EA%B7%B8%EC%9D%98+%EC%8B%9C%EC%97%90+%EB%93%9C%EB%9F%AC%EB%82%9C+%EC%82%AC%EB%AA%85%28%E7%AB%A2%E5%91%BD%29%EA%B4%80%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Yulgok+sasang+y%C5%8Fn%27gu&rft.au=%EB%B0%95%EA%B2%BD%EC%8B%AC&rft.date=2025-06-01&rft.pub=%28%EC%82%AC%29%EC%9C%A8%EA%B3%A1%ED%95%99%ED%9A%8C&rft.issn=1738-8236&rft.eissn=2713-7236&rft.spage=123&rft.epage=144&rft_id=info:doi/10.35436%2Fyulgok.2025.60..12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74196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823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823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823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