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은 이색의 천관(天觀) - 그의 시에 드러난 사명(竢命)관을 중심으로
전통사회에서 하늘[天]은 푸른 공간을 가리키는 이외에 만물의 조화옹, 생사와 화복의 주재자, 지존자, 보편적 입법의 최종 권위이며, 가치의 궁극적 근원으로 이해되었다. 여말선초의 성리학자 목은의 문집에 수록된 군자를 읊은 시 30여 수를 비롯하여 8,000여 편의 시 가운데 하늘[天], 하늘의 길[天道], 하늘의 명령[天命], 하늘의 이치[天理]에 대한 관념이 나타난다. 이는 그의 지천(知天)이고 사천(事天)이며 조리(造理)이고 이사(履事)이다. 그가 지닌 삶의 신념은 『중용』과 『주역』에 담긴 하늘에 대한 성리학적 해석에서 찾을...
Saved in:
Published in | Yulgok sasang yŏn'gu pp. 123 - 144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사)율곡학회
01.06.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8236 2713-7236 |
DOI | 10.35436/yulgok.2025.60..123 |
Cover
Summary: | 전통사회에서 하늘[天]은 푸른 공간을 가리키는 이외에 만물의 조화옹, 생사와 화복의 주재자, 지존자, 보편적 입법의 최종 권위이며, 가치의 궁극적 근원으로 이해되었다. 여말선초의 성리학자 목은의 문집에 수록된 군자를 읊은 시 30여 수를 비롯하여 8,000여 편의 시 가운데 하늘[天], 하늘의 길[天道], 하늘의 명령[天命], 하늘의 이치[天理]에 대한 관념이 나타난다. 이는 그의 지천(知天)이고 사천(事天)이며 조리(造理)이고 이사(履事)이다. 그가 지닌 삶의 신념은 『중용』과 『주역』에 담긴 하늘에 대한 성리학적 해석에서 찾을 수 있다. 그는 중정(中正)과 위육(位育)을 지향한다. 그리고 ‘모든 존재자들이 각각 제자리를 얻는다[各得其所]’라는 명제가 함의하는 완전한 평화가 조화옹의 뜻이라 믿는다. 또한 화복(禍福)으로서의 명(命)은 하늘의 주권에 속하는 것으로 기다리고 받아들이고 순종하는 것일 뿐 원망이나 탓할 내용도 대상도 아니라고 한다. 공동체 구성원의 안위(安危)를 위하여 지성으로 하늘에 간구할 수는 있어도 개인적 생사나 수요 화복은 기도할 곳이 없다는 태도를 견지하였다. 그리고 하늘과 짝을 이루는 삶을 살고자 하였다. 그는 이를 사명(竢命)과 순생(順生)이라 하였다. In traditional society, in addition to referring to the blue space, the sky (天) was understood as the harmonious host of all things, the master of life and death, fortune and misfortune, the supreme being, the final authority of universal legislation, and the ultimate source of value. In the collected works of Mok Eun, a Neo-Confucian scholar of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including about 30 poems praising gentlemen, the concepts of sky (天), the way of heaven (天道), the command of heaven (天命), and the principle of heaven (天理) appear.
Mok-eun’s beliefs in life can be found in the Neo-Confucian interpretation of the Tian contained in the Book of Changes and Golden Mean. These two scriptures are rich in the content of Confucian metaphysical transcendence, including the heavenly command, the God and the Deity. The command of heaven, and the reason of heaven, are the central themes of Neo-Confucianism. Therefore that is called as the study of Heaven and the study of serving Heaven. Mok-eun believes that the full peace of 'everything gets its own proper place' is the will of Tian as the Creator. In addition, the fortune belongs to Heaven's sovereignty, and it is only to wait, to accept, and to obey, and it is not subject to resentment or blame. Therefore, there was no place to pray for long life or welfare. Through the study and discipline of believing and practicing the mandate of heaven, he tried to live a life paired with heaven. He called it waiting the Mandate(竢命) and obeying the reason of life(順生).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738-8236 2713-7236 |
DOI: | 10.35436/yulgok.2025.6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