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강수와 글로벌 지형자료를 이용한 2024년 압록강 홍수량 및 침수범위 추정

본 연구는 위성으로부터 유도된 강수자료와 글로벌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2024년 7월에 발생한 신의주 지역의 홍수량 및 침수범위를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홍수량 분석을 위한 강수자료는 JAXA의 GSMaP 자료를 이용하였고, 침수범위 분석을 위한 지형자료는 JAXA의 AW3D30 DSM 자료를 이용하였다. 홍수량 분석 및 침수분석을 위한 도구는 각각 GRM, G2D 모형을 이용하였다. 위성강수자료는 북한과 같이 계측자료의 수집이 어렵고 자료의 시공간 해상도가 낮은 지역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홍수량 모의 결과 태평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45(4) pp. 459 - 468
Main Authors 김주훈, 최윤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토목학회 01.08.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015-6348
2799-9629
DOI10.12652/Ksce.2025.45.4.045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위성으로부터 유도된 강수자료와 글로벌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2024년 7월에 발생한 신의주 지역의 홍수량 및 침수범위를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홍수량 분석을 위한 강수자료는 JAXA의 GSMaP 자료를 이용하였고, 침수범위 분석을 위한 지형자료는 JAXA의 AW3D30 DSM 자료를 이용하였다. 홍수량 분석 및 침수분석을 위한 도구는 각각 GRM, G2D 모형을 이용하였다. 위성강수자료는 북한과 같이 계측자료의 수집이 어렵고 자료의 시공간 해상도가 낮은 지역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홍수량 모의 결과 태평댐 하류에서 첨두유량은 92,574.5 ㎥/s이며, 발생시각은 7월 28일 22시로 분석되었다. G2D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한 결과 최대 침수범위가 발생한 시점은 7월 29일 05시로 분석되었다. 이는 신의주 면적의 약 67 % 정도가 침수피해를 입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홍수의 대부분은 북한 신의주 지역에 집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북한 신의주와 중국 단둥지역의 지형적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침수모의에서 DEM/DSM의 정확도는모의결과의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침수모의를 통하여 언론에서 보도된 홍수발생 당시 상황과 침수심과 침수범위에서 유사한 결과를 얻었고, 신의주시 일원의 침수심 변화와 침수시간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향후 미계측 지역에서의 정량적인 홍수규모를 평가하는데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방법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flood volume and inundation extent in the Sinuiju-Si that occured in July 2024 using satellite-derived precipitation data and global terrain data. The precipitation data for flood volume analysis used JAXA's GSMaP data, and the terrain data for inundation extent analysis used JAXA's AW3D30 DSM data. The tools for flood discharge analysis and inundation analysis used GRM and G2D models, respectively. The satellite-derived precipitation data can be effectively used in areas such as North Korea where it is difficult to collect measured data and the data's spatiotemporal resolution is low. As a result of the floodvolume simulation, the peak flow downstream of Taepyeong Dam was 92,574.5 ㎥/s, and the occurrence time was analyzed as 22:00 on July 28.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using the G2D model, the maximum inundation extent was analyzed as 05:00 on July 29. It is estimated that approximately 67 % of the area of Sinuiju-Si was flooded.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most of the flood was concentrated in the Sinuiju-Si area of North Korea, which was due to the topographical differences between Sinuiju-Si in North Korea and Dandong in China. In flood simulation of this study, the accuracy of DEM/DSM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accuracy of the simulation results, but through flood simulation,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terms of flood depth and flood range as reported in the media at the time of the flood, and the changes in flood depth and flood time in the Sinuiju-Si area could be quantitatively analyzed. The method appli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ly utiliz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flood scale in unmeasured areas in the future. KCI Citation Count: 0
ISSN:1015-6348
2799-9629
DOI:10.12652/Ksce.2025.45.4.0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