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영화와 가상현실에서의 역사적 폐허 알레고리 연구
본 논문은 역사적 폐허를 단순한 과거의 잔재가 아닌 능동적인 기억의 공간으로 인식하고, 영화(특히 실험 영화)와 몰입형 가상현실(VR)을 중심으로 폐허의 역사적·알레고리적·현상학적 의미가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고찰한다. 연구 결과, 실험 영화는 알레고리적 기법을 통해 단편적이고 파편화된 역사적 진실을 전달하지만 2차원 화면과 고정된 시점으로 인해 관객 몰입에 한계가 있었다. 반면 가상현실은 더욱 풍부한 몰입감과 상호작용을 통해 관객이 유적에 내재된 복합적 역사 의미와 직접적으로 소통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영상 매체의 표현 한계를 넘어...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6(7) pp. 1785 - 179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7.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Cover
Summary: | 본 논문은 역사적 폐허를 단순한 과거의 잔재가 아닌 능동적인 기억의 공간으로 인식하고, 영화(특히 실험 영화)와 몰입형 가상현실(VR)을 중심으로 폐허의 역사적·알레고리적·현상학적 의미가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고찰한다. 연구 결과, 실험 영화는 알레고리적 기법을 통해 단편적이고 파편화된 역사적 진실을 전달하지만 2차원 화면과 고정된 시점으로 인해 관객 몰입에 한계가 있었다. 반면 가상현실은 더욱 풍부한 몰입감과 상호작용을 통해 관객이 유적에 내재된 복합적 역사 의미와 직접적으로 소통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영상 매체의 표현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경험을 가능하게 했다. 특히 VR의 현전감은 관객으로 하여금 폐허 공간의 시간적 층위와 알레고리적 흔적을 체화된 방식으로 느끼게 하며, 역사적 트라우마를 가상으로 재현할 때 수반되는 윤리적 고려의 중요성도 함께 부각시킨다. 결국 VR의 현상학적 깊이는 무빙 이미지 매체의 표현 영역을 크게 확장하여 폐허를 집단기억과 공감적 역사 성찰의 역동적 공간으로 전환시킨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또한 몰입형 미디어를 통한 역사 재현에는 새로운 윤리적 도전이 수반됨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신중한 접근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historical ruins as active sites of memory by analyzing their representation in moving-image media, particularly experimental cinema and immersive virtual reality (VR), through historical, allegorical, and phenomenological frameworks. Experimental films convey fragmented historical truths through allegory but remain limited by the two-dimensionality and fixed perspective of traditional films. In contrast, VR offers heightened immersion and interactivity, allowing audiences to interact more directly with the layered historical meanings embodied by ruins. The study argues that VR’s phenomenological depth significantly expands the expressive potential of moving-image media, transforming ruins into interactive spaces of collective memory and empathetic historical reflection. At the same time, the paper underscores the ethical imperative of reconstructing traumatic histories in VR with consideration to avoid desensitization and ensure meaningful engagement with the audience.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2009 2287-738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