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 스토어의 가치성이 인지된 가치를 통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MZ세대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팝업 스토어의 가치성 요인(디자인, 희소성, 편의성)이 인지된 가치(기능적 가치, 감성적 가치)를 매개로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MZ세대를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팝업 스토어 방문 경험이 있는 26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팝업 스토어의 디자인과 희소성은 기능적 가치와 감성적 가치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편의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지된 가치(...
Saved in:
Published in | 문화기술의 융합, 11(4) pp. 671 - 68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01.07.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팝업 스토어의 가치성 요인(디자인, 희소성, 편의성)이 인지된 가치(기능적 가치, 감성적 가치)를 매개로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MZ세대를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팝업 스토어 방문 경험이 있는 26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팝업 스토어의 디자인과 희소성은 기능적 가치와 감성적 가치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편의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지된 가치(기능적 가치, 감성적 가치)는 모두 구매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팝업 스토어의 물리적·심리적 속성이 소비자의 인지적 평가와 행동 의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브랜드 마케팅 및 공간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세대 비교 및 디지털 팝업 스토어 등 온라인 환경을 고려한 확장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pop-up store value factors—design, scarcity, and convenience—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perceived value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 focusing on the MZ gener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62 participants who had prior experience visiting pop-up stor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design and scarc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functional and emotional perceived values, while convenience did not show a meaningful impact. Furthermore, both functional and emotional perceived values significantly enhance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clarifi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attributes of pop-up stores and consumers' cognitive evalua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offer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brand marketing strategies and spatial planning.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comparative analyses across generations and explore the expanding role of digital pop-up store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ipact.kr/eng/bbs/board.php?bo_table=Recent_Issue_jcct&wr_id=37 |
ISSN: | 2384-0358 2384-03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