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D-CAM 하이브리드 블록의 색 안정성에 대한 폴리싱 시스템 비교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CAD-CAM 하이브리드 블록의 색 안정성에 미치는 연마 방법의 영향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이었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 4가지 재료가 사용되었다: 나노필드 레진 복합체(Filtek™ Z350 XT), 리튬이소실리케이트 세라믹(IPS e.max CAD), 그리고 두 종류의 하이브리드 블록(Lava Ultimate, Cerasmart 270)이다. Lava Ultimate와 Cerasmart 270은 각각 연마 시스템에 따라 레진 연마군과 세라믹 연마군으로 나뉘었다. 총 여섯 개의 실험군이...
Saved in:
Published in | Taehan Chikwa Poch'ol Hakhoe chi pp. 227 - 23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English |
Published |
대한치과보철학회
01.07.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01-2875 2005-3789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CAD-CAM 하이브리드 블록의 색 안정성에 미치는 연마 방법의 영향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이었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 4가지 재료가 사용되었다: 나노필드 레진 복합체(Filtek™ Z350 XT), 리튬이소실리케이트 세라믹(IPS e.max CAD), 그리고 두 종류의 하이브리드 블록(Lava Ultimate, Cerasmart 270)이다. Lava Ultimate와 Cerasmart 270은 각각 연마 시스템에 따라 레진 연마군과 세라믹 연마군으로 나뉘었다. 총 여섯 개의 실험군이 준비되었으며, 이들은 21일 동안 레드 와인에 침지되었다. 색 변화 측정을 위해 기준 시점과 7일, 14일, 21일에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색을 측정하고, 색 차이 (ΔE)를 계산하였다. 데이터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그리고 Tukey의 사후 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α = .05). 결과: 모든 시점에서 IPS e.max CAD가 가장 낮은 ΔE 값을 보여 가장 높은 색 안정성을 나타냈으며, Filtek Z350 XT는 가장 높은 ΔE 값을 나타냈다 (P < .01). 하이브리드 블록 중 Cerasmart 270이 Lava Ultimate보다 낮은 ΔE 값을 보였다 (P < .01). Lava Ultimate의 경우, 세라믹 연마 시스템(LU-C)이 레진 연마 시스템(LU-R)보다 유의하게 낮은 ΔE 값을 나타냈으며 (P < .01), Cerasmart 270은 연마 시스템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5). 재료와 연마 방법 간 상호작용은 Day 7에서만 유의하였다 (P = .006). 결론: CAD-CAM 하이브리드 블록의 색 안정성은 재료의 종류와 적용된 연마 시스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이브리드 CAD-CAM 블록 간에도 충전재의 크기와 미세구조적 특성에 따라 연마 시스템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장기적인 심미성 향상을 위해서는 연마 방법의 신중한 선택이 권장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polishing systems on the color stability of CAD-CAM restorative materials after immersion in red wine. Materials and methods. Four types of materials were used: a resin composite (Filtek Z350 XT), two hybrid blocks (Lava Ultimate, Cerasmart 270), and a ceramic block (IPS e.max CAD). Lava Ultimate and Cerasmart 270 were each divided into two subgroups according to polishing systems: resin polishing and ceramic polishing. A total of six experimental groups were prepared and immersed in red wine for 21 days. Color measurements were taken at baseline and on Days 7, 14, and 21 using a spectrophotometer, and color changes (ΔE) were calcula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d two-way ANOVA with Tukey’s post hoc test (α = .05). Results. IPS showed the lowest ΔE values at all time points, indicating the highest color stability. The FT group showed the highest ΔE values, while LU and CER exhibited intermediate color stability. In the LU groups, the ceramic polishing system resulted in significantly lower ΔE values than the resin polishing system at Days 14 and 21 (P < .01).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lishing systems was observed in the CER groups (P > .05). Two-way ANOVA confirmed that material type significantly influenced ΔE values at all time points (P < .01), and that the effect of polishing system became significant over time.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material and polishing method was found only at Day 7 (P = .006).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both the material type and the polishing system affect the color stability of CAD-CAM restorative materials. Even among hybrid CAD-CAM blocks, the effectiveness of polishing systems may vary depending on filler size and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refore, careful selection of polishing protocols is recommended to improve long-term esthetic outcome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doi.org/10.4047/jkap.2025.63.3.227 |
ISSN: | 0301-2875 2005-37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