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코로나 시기 놀이치료 인식 변화에 대한 빅데이터 연구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COVID-19 발생 이전과 이후 시기에 뉴스 매체에서 나타난 놀이치료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COVID-19 발생 이전과 이후 기간별로 ‘놀이치료’ 키워드가 포함된 뉴스를 수집하였다. 그 후 Textom을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놀이치료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 키워드 간의 관계 및 토픽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팬데믹 발생 이전 시기에 비해 이후 시기에 ‘주호소 문제’ 범주에서 ‘학교폭력’이, ‘개입목적’ 범주에서는 ‘회복’이 비중 있는 단어로 출현하였다. 둘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놀이치료학회지, 27(1) pp. 93 - 115
Main Authors 진미경, 김혜진, 정호연, 홍이빈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놀이치료학회 01.0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0858
2384-0153
DOI10.17641/KAPT.27.1.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COVID-19 발생 이전과 이후 시기에 뉴스 매체에서 나타난 놀이치료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COVID-19 발생 이전과 이후 기간별로 ‘놀이치료’ 키워드가 포함된 뉴스를 수집하였다. 그 후 Textom을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놀이치료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 키워드 간의 관계 및 토픽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팬데믹 발생 이전 시기에 비해 이후 시기에 ‘주호소 문제’ 범주에서 ‘학교폭력’이, ‘개입목적’ 범주에서는 ‘회복’이 비중 있는 단어로 출현하였다. 둘째, COVID-19 발생 이전에는 놀이치료 관련 키워드로 ‘아동’, ‘프로그램’, ‘부모’, ‘상담’, ‘사업’, ‘학생’, ‘정서’, ‘가정’, ‘심리’ 등의 키워드가, 발생 이후에는 ‘아동’, ‘프로그램’, ‘상담’, ‘자녀’, ‘사업’, ‘치료’, ‘가족’, ‘건강’, ‘심리치료’, ‘강화’ 등의 키워드가 나타났다. 셋째, 놀이치료와 관련된 토픽으로 COVID-19 발생 이전에는 ‘발달 및 정신건강 ’, ‘아동ㆍ청소년 상담’, ‘심리지원 및 복지서비스’, ‘가족 지원 상담’의 4가지 군집이, 발생 이후에는 ‘영유아 발달 및 정신건강 개입 서비스’, ‘기관 치료개입 서비스’, ‘장애아동지원’, ‘아동ㆍ청소년 상담’의 4가지 군집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팬데믹 이후 증가한 놀이치료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치료 현장에 반영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public perceptions of play therapy in the news media before and after the occurrence of COVID-19 through big data analysis. To achieve this, we collected news articles containing the keyword ‘play therapy’ for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occurrence of COVID-19. Then we analyzed big data using Textom, extracting key keywords related to play therapy,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keywords, and topics. As a result, at first, in the post-COVID-19 era compared to the pre-COVID-19 era, ‘school violence’ emerged as a significant word in the category of ‘primary concern’ and ‘recovery’ appeared as a significant word in the category of ‘intervention purpose’. Second, in the pre-COVID-19 era, keywords such as ‘child’, ‘program’, ‘parents’, ‘counseling’, ‘business’, ‘student’, ‘emotion’, ‘family’, ‘psychology’ appeared. Whereas in the post-COVID-19 era, keywords such as ‘child’, ‘program’, ‘counseling’, ‘children’, ‘business’, ‘therapy’, ‘family’, ‘health’, ‘psychological therapy’ and ‘strengthening’ appeared. Third, topics related to play therapy in the pre-COVID-19 era included ‘development and mental health’, ‘child and adolescent counseling’, ‘psychological support and welfare services’, and ‘family support counseling’ as four clusters. In contrast to this, in the post-COVID-19 era, four clusters emerged as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and mental health intervention services’, ‘institutional therapy intervention services’,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ild and adolescent counseling’.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that can be reflected in play therapy by better apprehending and understanding the public’s perception of play therapy, which has increased since the pandemic.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0858
2384-0153
DOI:10.17641/KAPT.2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