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기반 골프 티 샷 및 그린을 향한 샷 기술평가 지표의 적합성 검증
본 연구는 KPGA 선수들의 경기력 평가를 위한 티 샷 및 그린을 향한 샷 기술평가 지표의 유효성을 검증하는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PGA 코리안투어 대회 중 대회 포인트와 상금 규모가 가장 큰 대회에 참가한선수들의 경기력 자료를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은 먼저 선수들의 각 경기력 요인을 알아보기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타수와 각 기술평가 지표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피어슨의 적률상관분석을실시하였고, 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기술평가 지표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7(2) pp. 79 - 87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06.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KPGA 선수들의 경기력 평가를 위한 티 샷 및 그린을 향한 샷 기술평가 지표의 유효성을 검증하는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PGA 코리안투어 대회 중 대회 포인트와 상금 규모가 가장 큰 대회에 참가한선수들의 경기력 자료를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은 먼저 선수들의 각 경기력 요인을 알아보기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타수와 각 기술평가 지표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피어슨의 적률상관분석을실시하였고, 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기술평가 지표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로 티 샷 기술평가 지표가 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기존의 기술평가 지표인 드라이브 비거리, 페어웨이 안착률에 비해 새로운 기술평가 지표인 티 샷 후 남은 거리가 타수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그린을 향한 샷 기술평가 지표가 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존의 기술평가 지표인 그린 적중률에 비해 새로운 기술평가 지표인 그린 샷 후 남은 거리가 타수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단순한 거리나 적중 여부를 평가하는 기존 지표보다 홀과의 거리까지 반영한 정량적 지표가 경기력예측에 보다 적합한 지표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기존 기술평가 지표와 더불어 거리 기반 지표를 활용하는 것이 선수들의 경기력을 보다 정밀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echnical evaluation indicators for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KPGA players.
Performance data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nts in the KPGA Korean Tour tournament that offered the highest ranking points and prize money.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each performance factor.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oke scores and the performance indicator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identify significant predictors of stroke score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with respect to tee shot performance, the newly proposed indicator (remaining distance after tee shot) had a greater impact on stroke scores than conventional indicators such as driving distance and fairway accuracy. Second, for green-targeting shots, the newly proposed indicator (remaining distance after green-targeting shot) exhibited a stronger relationship with stroke scores than the traditional indicator, greens in regulation. In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distance-based quantitative indicators that reflect the remaining distance to the hole may serve as more effective predictors of golf performance than existing indicators that only account for shot distance or accuracy. Therefore, to more precisely evaluate and predict player performance, it is recommended to incorporate such quantitative indicators alongside traditional metric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9-4225 2671-91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