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순사상 상생윤리의 근대성 정초(定礎)에 관한 연구 : 칸트의 도덕 주체 및 이성 신앙 모델을 중심으로

대순사상의 상생윤리(相生倫理)는 신앙과 이성의 균형을 지향하는 도덕 주체의 근대적 윤리론이다. 외부 권력에 의한 윤리는 지배자와 피지배자 사이의 상극적 위계를 기반으로 하지만 도덕 주체의 자율에 의한 공동체는 주체 사이의 상생(相生)을 토대로 한다. 도덕적 주체는 신(神)을 권력적 지배자가 아닌 도덕적 실체로 파악하고, 그 도덕형이상학적 본질을 인간의 위치에서 실현코자 한다. 이는 모든 개인이 중세적 피지배자에서 입법자의 지위에 이른 근대적 상승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실천이성과 신적 질서의 합일을 향한 칸트의 근대적 지향성은 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순사상논총, 53(0) pp. 181 - 205
Main Author 김대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순사상학술원 01.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3439
2671-631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대순사상의 상생윤리(相生倫理)는 신앙과 이성의 균형을 지향하는 도덕 주체의 근대적 윤리론이다. 외부 권력에 의한 윤리는 지배자와 피지배자 사이의 상극적 위계를 기반으로 하지만 도덕 주체의 자율에 의한 공동체는 주체 사이의 상생(相生)을 토대로 한다. 도덕적 주체는 신(神)을 권력적 지배자가 아닌 도덕적 실체로 파악하고, 그 도덕형이상학적 본질을 인간의 위치에서 실현코자 한다. 이는 모든 개인이 중세적 피지배자에서 입법자의 지위에 이른 근대적 상승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실천이성과 신적 질서의 합일을 향한 칸트의 근대적 지향성은 대순사상의 상생윤리를 원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모델이 된다. 대순사상의 ‘신인조화(神人調化)와 인존(人尊)’은 신과 인간의 상생적 일치를 의미하며, 개인이 독립적 우주임을 인정하는 개념이다. 이것은 권위에 복종하던 중세적 개인을 자율적 도덕 주체로 이끌기 위해 신과 인간의 관계를 재설정한 칸트의 근대적 원리를 통해 이해해볼 수 있다. 대순사상의 상생윤리는 주체와 주체 사이의 평등에 의해 실현된다. 모든 인간이 서로를 신(神)의 도덕적 역량을 가진 독립체로서 인정하고, 위무와 형벌이 아닌 자유 의지들 사이의 상생적 소통에 의해 도덕이 실현되는 개체 중심의 근ㆍ현대적 윤리를 의미한다. The system of ethics known as Sangsaeng Ethics (相生倫理) within Daesoon Thought is a modern ethical theory of moral subjects that aims to balance faith and reason. Ethics by external power can be said to be based on the reciprocal hierarchy between the ruler and the governed, but a community guided by the autonomy of the moral subject would be based on Mutual Beneficence between the subjects. The moral subject seeks to grasp God as a moral entity rather than a power ruler, and to realize its moral metaphysical essence from a human position. This can be said to be a modern rise in which all individuals have reached the status of a legislator from a medieval dominance-based perspective. Kant’s modern orientation toward the unity of humankind’s practical reason and God’s order becomes a model that can fundamentally grasp the Sangsaeng Ethics found in Daesoon Thought. The concepts of Harmonious Union between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神人調化) and Human Nobility (人尊 injon) in Daesoon Thought mean the Sangsaeng unity between God and humankind call for the recognition that each individual is an independent universe unto itself. This can be understood through Kant’s modern principle, which resets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kind in order to lead individuals who obeyed authority to evolve into autonomous moral subjects. Sangsaeng Ethics in Daesoon Thought is realized by equality among subjects. It refers to an ethical system that is individual-centered and modern in which all humans recognize each other as independents with the moral capacity of God, and morality is realized by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Sangsaeng (相生) between individuals practicing free will, rather than relying on only duty and punishment.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181
ISSN:1598-3439
2671-6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