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U-18 유스팀 선수들의 경기중 체력에 관한 기초연구
이 연구는 축구 K리그 주니어리그에 속해 있는 U-18 유스팀의 경기 중 선수들의 체력 요인을 분석하여 실제현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리그 경기에 출전한 선수 중 90분 이상 경기를 뛴 82명의선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GPS 장비를 사용해 축구 선수들의 체력관련 데이터를 개인별로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축구 U-18 유스팀 선수들의 전체 경기를 포지션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폭발적 가속 횟수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포지션에 따른 체력은 명확한 차이가 밝혀졌고 이를 통해 다양한...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7(2) pp. 45 - 5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06.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4225 2671-9134 |
Cover
Loading…
Summary: | 이 연구는 축구 K리그 주니어리그에 속해 있는 U-18 유스팀의 경기 중 선수들의 체력 요인을 분석하여 실제현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리그 경기에 출전한 선수 중 90분 이상 경기를 뛴 82명의선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GPS 장비를 사용해 축구 선수들의 체력관련 데이터를 개인별로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축구 U-18 유스팀 선수들의 전체 경기를 포지션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폭발적 가속 횟수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포지션에 따른 체력은 명확한 차이가 밝혀졌고 이를 통해 다양한 특성을 시사할 수있었다. 전체 경기를 전-후반전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경기를뛰는 선수들은 90분 동안 자신의 체력을 일정하게 안배하면서 경기에 임한다고 볼 수 있다. 전체 경기를 전-후반기리그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폭발적 가속 횟수, 폭발적 감속 횟수가 전반기 리그에서 높게 나타났고 다른 부분에서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하계 훈련이 체계적이라고 판단되며, 시즌 중에도훈련, 경기, 회복 등의 일련의 과정이 과학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hysical fitness factors of players during matches of the U-18 youth team in the K-League Junior League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actual field. For this purpose, 82 players who played in league matches for more than 90 minutes were targeted, and physical fitness-related data of soccer players was collected and analyzed individually using GPS equipment. All matches of the U-18 youth soccer team players were classified by position and analyz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areas except for the number of explosive accelerations.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physical strength depending on the position, which suggested various characteristics. After dividing all games into the first and second halves, the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t can be said that players who play all games maintain a constant level of physical strength for the entire 90 minutes. The analysis of all games by league period showed that the number of explosive accelerations and explosive decelerations was higher in the first half of the season,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area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mmer training was systematic, and that the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training, games, and recovery during the season was carried out scientifically.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9-4225 2671-91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