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덤포레스트와 임상도를 사용한안동 산불 피해 범위 분석

본 연구는 2025년 3월 경상북도 안동시 남부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신뢰도 높은 피해 면적 산정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Landsat 8호와 9호 위성의 표면반사도 영상을 활용하여 NDVI 및 dNBR 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입력 변수로 한 랜덤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불 피해 등급(Class 0~4)을 구분하였다. 초기 분류 피해 면적은 약 24,954.39ha로 나타났으며, 이후 dNDVI 및 NBR을 기반으로 과분류 영역 약 1,478.16ha를 제거하여, 최종 피해 면적은 2...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적과 국토정보, 55(1) pp. 157 - 171
Main Authors 정종철, 손주형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국토정보공사 01.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08-3384
2508-3392
DOI10.22640/lxsiri.2025.55.1.15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2025년 3월 경상북도 안동시 남부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신뢰도 높은 피해 면적 산정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Landsat 8호와 9호 위성의 표면반사도 영상을 활용하여 NDVI 및 dNBR 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입력 변수로 한 랜덤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불 피해 등급(Class 0~4)을 구분하였다. 초기 분류 피해 면적은 약 24,954.39ha로 나타났으며, 이후 dNDVI 및 NBR을 기반으로 과분류 영역 약 1,478.16ha를 제거하여, 최종 피해 면적은 23,476.23ha로 정제되었다. 또한 QGIS 기반의 공간 교차 분석을 통해 피해 지역의 임상 유형을 분석한 결과, 침엽수림(65.2%)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활엽수림(22.5%), 혼효림(10.3%), 죽림(0.01% 미만)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위성영상 기반 자동 분류와 지수 기반 보정, 임상도 교차 분석을 결합하여 산불 피해 추정의 정밀도를 높였으며, 향후 산림 복원과 지역 맞춤형 대응 전략 수립을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wildfire damage that occurred in March 2025 in the southern region of Andong-si, Gyeongsangbuk-do, and to estimate the affected area with high reliability. To this end, surface reflectance imagery from the Landsat 8 and 9 satellite was used to derive NDVI and dNBR indices, which were then applied as input variables in a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algorithm to categorize burn severity into five classes (Class 0–4). The initial classification estimated the total damaged area at approximately 24,954.39 ha. After eliminating overclassified areas, about 1,478.16 ha, based on dNDVI and NBR thresholds, the final adjusted burned area was refined to 23,476.23 ha. Furthermore, a spatial overlay analysis using QGIS revealed that coniferous forest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burned area (65.2%), followed by broadleaf forests (22.5%), mixed forests (10.3%), deforested or non-forest areas (2.0%), and bamboo forests (less than 0.01%). By integrating satellite-based automated classification, index-based correction, and forest type overlay analysis, this study improves the accuracy of wildfire damage estimation and provides foundational scientific data to support forest restoration and region-specific post-fire response strategie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data.doi.or.kr/10.22640/lxsiri.2025.55.1.157
ISSN:2508-3384
2508-3392
DOI:10.22640/lxsiri.2025.55.1.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