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과의 관계: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과 지각된 사회적지지의 다중매개효과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과 지각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성별에 따라 분석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국내 대학생 305명으로, 국내에서 부모와 성장 과정을 함께한 학생들로 선정했다. 자료 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의 Model 4를 활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 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5(6) pp. 763 - 777
Main Authors 김정아, 조영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5.25.06.76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과 지각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성별에 따라 분석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국내 대학생 305명으로, 국내에서 부모와 성장 과정을 함께한 학생들로 선정했다. 자료 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의 Model 4를 활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 및 우울과 정적 상관을, 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 및 지각된 사회적지지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에서는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남학생과 여학생 간 약한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구체적으로 여학생은 지각된 사회적지지 경로에서, 남학생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 경로에서 미미한 효과 차이가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적응적/부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과 지각된 사회적지지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별 간 차이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정신건강에서 성별 차이는 심리적 개입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실질적인 개입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adaptive/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based on gender. The participants were 305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had lived with their parents throughout their upbringing in Korea. PROCESS macro Model 4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and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appli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Our primary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depress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Second, the gender difference analysis did not revea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ut weak tendencies were observed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Specifically, female students showed a marginal effect difference in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path, while male students showed a marginal effect difference in th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path. In conclusion, adaptive/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confirm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mitigating the impa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depression. Although the results of verifying gender difference did not revea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gender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are an important factor in psychological interventions and will be helpful for practical interven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5.25.06.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