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인성으로 발생한 세라믹 대퇴 골두와 대퇴 주대 Trunnion의 파국적 분리
인공 고관절 부분 재치환술에 있어 수술의 과거력을 알아보는 것과 직전 수술에 사용된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매우중요하다. 저자들은 인공 고관절 치환술 후 13년째에, 세라믹 골두와 대퇴 주대 trunnion이 분리된 환자를 체험하였는데, 삽입되어 있는 인공 관절물에 대한 정보 획득에 소홀히 하여 의인성으로 발생한 경우였고, 환자의 과거력 파악이 불가능하여 발생 원인을 예상하지 못하였던 증례였다. 이에 저자들은 증례를 통해, 부분 재치환술에 있어 삽입된 인공 관절물에 대한 정보 획득은 매우중요하며, 환자나 보호자를 통해 의...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pp. 103 - 108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06.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인공 고관절 부분 재치환술에 있어 수술의 과거력을 알아보는 것과 직전 수술에 사용된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매우중요하다. 저자들은 인공 고관절 치환술 후 13년째에, 세라믹 골두와 대퇴 주대 trunnion이 분리된 환자를 체험하였는데, 삽입되어 있는 인공 관절물에 대한 정보 획득에 소홀히 하여 의인성으로 발생한 경우였고, 환자의 과거력 파악이 불가능하여 발생 원인을 예상하지 못하였던 증례였다. 이에 저자들은 증례를 통해, 부분 재치환술에 있어 삽입된 인공 관절물에 대한 정보 획득은 매우중요하며, 환자나 보호자를 통해 의료 정보 획득이 어려운 특수한 경우에는 의료기관 간에 의무 기록 공유가 가능한 제도가 필요하다는 계기가 될 수 있는 유익한 증례로 생각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Understanding the patient’s surgical history and the specifics of previously used implants is crucial in partial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THA). The authors report a patient 13 years post-THA who experienced dissociation between the ceramic head and the femoral stem trunnion. This complication was deemed iatrogenic, arising from in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original prosthesis and an unclear medical history. This case underscores the need for comprehensive knowledge of the implanted prosthesis during partial revision procedures.
Furthermore, it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a system that facilitates the sharing of medical records across healthcare institutions, especially when obtaining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patient or their guardians proves challenging. The authors discuss this case in conjunction with a literature review to stress the importance of proper information acquisition and advocate for enhanced mechanisms for medical record sharing.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5.60.2.103 |
ISSN: | 1226-2102 2005-8918 |
DOI: | 10.4055/jkoa.2025.60.2.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