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성 척추 압박골절에서 상대 골격근 지수와 척추 시상면 균형 간의 관계

목적: 고령 인구, 특히나 여성에서 척추 압박골절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근감소증의 유병률도 높은 특징을 가진다. 본 연구는 근감소증이 있는 고령 여성의 임상적 특성과 시상면 척추-골반 지표 및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골절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21년 10월부터 2022년 9월까지 가천대 길병원을 내원한 60세 이상 여성 환자, 총 157명의 데이터베이스를 후향적으로 검색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를 척추 압박골절 군(58명, 36.9%)과 비골절 군(99명, 63.1%)으로 나누었고, 두 그룹 간의 나이, 체질량지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pp. 91 - 97
Main Authors 전득수, 백종민, 임지섭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고령 인구, 특히나 여성에서 척추 압박골절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근감소증의 유병률도 높은 특징을 가진다. 본 연구는 근감소증이 있는 고령 여성의 임상적 특성과 시상면 척추-골반 지표 및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골절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21년 10월부터 2022년 9월까지 가천대 길병원을 내원한 60세 이상 여성 환자, 총 157명의 데이터베이스를 후향적으로 검색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를 척추 압박골절 군(58명, 36.9%)과 비골절 군(99명, 63.1%)으로 나누었고, 두 그룹 간의 나이, 체질량지수, 골밀도, 상대 골격근 지수(근감소증<5.45 kg/m2), 시상면 척추-골반 지표를 포함한 두 그룹 간의 임상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근감소증이 있는 환자는 비 근감소증 환자에 비해 척추 압박골절 발생 위험이 2.94배 더 높았다(oddsa rtio=2.94, p=0.009). 또한, 상대 골격근 지수가 낮을수록 척추 압박골절 위험이 증가하였다(odds ratio=1.24, p=0.012). 상대 골격근 지수는 나이, 체질량지수, 골밀도뿐만 아니라 척추-골반 지표 중 제1흉추 골반각, 시상면 수직축, 천골 경사각, 요추 전만각 그리고 흉요추 후만각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체질량지수 및 골밀도와 함께 상대 골격근 지수, 근감소증, 제1흉추 골반각이 척추 압박골절의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상대 골격근 지수는 근감소증 진단의 중요한 지표이며, 시상면 척추-골반 지표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척추 골절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잠재적 인자로 사용될 수 있다. Purpose: In an aging human population,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VCFs) are frequently encountered, particularly in female, and the prevalence of sarcopenia is also high. This study analyz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female with sarcopeni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ebral sagittal spinal–pelvic parameters and osteoporotic VCFs. Materials and Methods: The database was searched retrospectively for 157 female aged 60 years or older who visited the Gachon University Gil Medical Center from October 2021 to September 2022.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VCF group (58 patients, 36.9%) and a non-fracture group (99 patients, 63.1%).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body mass index (BMI), bone mineral density (BMD), relative skeletal muscle index (RSMI, sarcopenia<5.45 kg/m2), and sagittal spinopelvic parameters i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Patients with sarcopenia had a 2.94-fold higher risk of developing VCF compared to those without sarcopenia (odds ratio=2.94, p=0.009). In addition, the risk of VCF increased as the RSMI decreased (odds ratio=1.24, p=0.012). The RSMI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age, BMI, BMD, and sagittal spinopelvic parameters, including T1 pelvic angle (TPA), sagittal vertical axis, sacral slope, lumbar lordosis, and thoracic lumbar kyphosi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for VCF, RSMI, sarcopenia, and TPA showed significant results alongside BMI and BMD. Conclusion: RSMI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diagnosing sarcopenia and can serve as a potential factor for predicting the risk of VCF.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5.60.2.91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25.60.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