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저가형 뷰티 브랜드의 리브랜딩 효과 분석: 다이소 사례 기 반 소비자 반응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다이소의 저가형 뷰티제품 리브랜딩이 소비자 인식과 브랜드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며, 특히 브랜드 컬래버레이션이 소비자 태도 형성에 미친 역할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둔다. 방법: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리브랜딩 전후 소비자 반응을 비교 분석하였다. 2015년(리브랜딩 이전)과 2024년(리브랜딩 이후)에 유튜브에 게시된 제품 리뷰 영상의 댓글을수집하였으며, TF-IDF와 연결정도 중심성 지표를 바탕으로 워드 클라우드 분석, 감성어휘 분석, 의미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다이소는 리브랜딩...
Saved in:
Published in |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23(2) pp. 269 - 281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피부과학연구원
01.06.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466-2046 2466-2054 |
DOI | 10.20402/ajbc.2025.0030 |
Cover
Summary: | 목적: 본 연구는 다이소의 저가형 뷰티제품 리브랜딩이 소비자 인식과 브랜드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며, 특히 브랜드 컬래버레이션이 소비자 태도 형성에 미친 역할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둔다. 방법: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리브랜딩 전후 소비자 반응을 비교 분석하였다. 2015년(리브랜딩 이전)과 2024년(리브랜딩 이후)에 유튜브에 게시된 제품 리뷰 영상의 댓글을수집하였으며, TF-IDF와 연결정도 중심성 지표를 바탕으로 워드 클라우드 분석, 감성어휘 분석, 의미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다이소는 리브랜딩 이후 소비자 인식이 크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에는 부정적인 키워드가 주요하게 나타나며 소비자 불만이 두드러졌으나, 리브랜딩 이후에는 긍정적인 키워드가 중심을 차지하였다. 특히 유명 뷰티 브랜드와의 컬래버레이션과관련된 키워드가 등장하면서, 협업이 지각된 품질 향상과 브랜드 신뢰도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이 확인되었다. 감성어휘 분석에서도 긍정적 감정은 증가하고, 부정적 감정은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성공적인 리브랜딩이 단순히 이미지 변화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 신뢰와 지각된 품질 개선을 동반해야 함을 시사한다. 브랜드 컬래버레이션, 품질 향상, 소비자 경험 중심의 전략이 리브랜딩 효과를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저가형 브랜드가 시장에서 효과적으로 리포지셔닝하는 데 실질적인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he rebranding of Daiso’s low-cost beauty product line on consumer perception and brand image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role of brand collaboration in shaping consumer attitudes. Methods: This study uses text mining techniques to analyze consumer reactions before and after the rebranding. Comments were collected from product review videos on YouTube uploaded in 2015 (pre-rebranding) and 2024 (post-rebranding). Word cloud, sentiment, and semantic network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and degree centrality metrics.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a significant shift in consumer perception after rebranding. In 2015, negative keywords were dominant, which reflects consumer dissatisfaction. However, in 2024, positive keywords became increasingly prominent. Notably, keywords related to brand collaboration emerged, which confirms that partnerships with established beauty brands contributed to improvements in perceived product quality and brand trust. Sentimental analysis also revealed an increase and a decrease i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successful rebranding requires more than mere visual changes; it must be accompanied by efforts to enhance consumer trust and perceived quality. The key factors that drive effective rebranding include brand collaboration, quality improvement, and strategies that target consumer experience. These insight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low-cost brands that seek to reposition themselves successfully in competitive market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466-2046 2466-2054 |
DOI: | 10.20402/ajbc.2025.0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