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사회적 위축의 발달 궤적 및 영향 요인 분석: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 연구 주제: 청소년기의 사회적 위축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색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함의와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연구 배경: 현재 청소년들의 사회적 위축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청소년기의 사회적 위축은 정신ㆍ신체 건강과 학업 및 미래 성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다수의 횡단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중1부터 고3까지 6년간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의 변화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고, 잠재성...
Saved in:
Published in | 인문사회과학연구, 33(2) pp. 625 - 65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05.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 연구 주제: 청소년기의 사회적 위축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색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함의와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연구 배경: 현재 청소년들의 사회적 위축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청소년기의 사회적 위축은 정신ㆍ신체 건강과 학업 및 미래 성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다수의 횡단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중1부터 고3까지 6년간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의 변화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고,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해 개인별 변화 경로를 추적하며, 생태체계이론의 미시체계 관점에서 환경 요인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 연구방법: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1패널 제1차(2018년)부터 제6차(2023년)까지 총 6년 동안의 자료를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사회적 위축의 변화 양상은 2차 함수 모형이 최적 모델로 확인되었으며,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초기 사회적 위축이 높고 이후 감소하는 패턴이 뚜렷하였고, 스마트폰 의존은 초기 사회적 위축을 높였으며, 긍정적 양육 태도가 높을수록 초기 사회적 위축이 높았으나 이후 감소하였고, 또래 관계는 초기 사회적 위축을 낮추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사회적 위축을 증가시켰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본 연구는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이 우울, 스마트폰 의존, 긍정적 양육 태도, 또래 관계와 같은 미시체계 요인의 영향을 받아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며, 이를 완화하기 위해 정서적 지원, 부모 교육, 또래 관계 증진, 스마트폰 사용 조절 등의 종합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Research topics: The aim is to explore how social withdrawal in adolescence changes over time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 drawing ou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Research background: Social withdrawal among adolescents is a serious problem that needs to be addressed as it negatively impacts mental and physical health, academic performance, and future succes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Unlike many cross-sectional studies,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social withdrawal longitudinally over a six-year period, tracks individual change pathways using latent growth models, and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impact of environmental factors from the micro-systems perspective of ecological systems theory.
· Research method: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which covers a total of six waves of first-grade middle school panel, were analyzed using a latent growth model.
· Research results: A quadratic function model was found to be the best model for the pattern of change in social withdrawal, with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ssociated with higher initial social withdrawal and subsequent decline, smartphone dependence associated with higher initial social withdrawal,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ssociated with higher initial social withdrawal and subsequent decline, and peer relationships associated with lower initial social withdrawal but increased social withdrawal over time.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study suggests that adolescent social withdrawal changes nonlinearly, influenced by micro-systemic factors such as depression, smartphone dependence,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and that comprehensive interventions such as emotional support, parental education, enhancing peer relationships, and moderating smartphone use are needed to mitigate it.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09436 |
ISSN: | 2288-8861 2671-5376 |
DOI: | 10.22924/jhss.33.2.202505.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