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교과 스마트러닝 기반 문제해결학습 설계 사례연구 : 중학생의 문제해결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 연구 주제: 체육교과 스마트러닝 기반 문제해결학습을 설계하여 수업을 진행한 후 문제해결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변화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 연구 배경: 체육교과에서 스마트러닝을 적용하는 것과 스포츠 분야에서 AI 및 에듀테크를 활용하는 것은 전세계적인 추세이나, 스마트러닝에서 특정 교육효과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을 적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교수학습전략을 적용하였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스마트러닝을 위한 교수학습전략, 자기주도학습, 협력적 문제해결 지원 전략을 통합, 적용한 수업 설계 및 효과를 확인하였다. · 연구방법: 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문사회과학연구, 33(2) pp. 99 - 130
Main Authors 김주연, 전흥수, 이태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05.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 연구 주제: 체육교과 스마트러닝 기반 문제해결학습을 설계하여 수업을 진행한 후 문제해결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변화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 연구 배경: 체육교과에서 스마트러닝을 적용하는 것과 스포츠 분야에서 AI 및 에듀테크를 활용하는 것은 전세계적인 추세이나, 스마트러닝에서 특정 교육효과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을 적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교수학습전략을 적용하였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스마트러닝을 위한 교수학습전략, 자기주도학습, 협력적 문제해결 지원 전략을 통합, 적용한 수업 설계 및 효과를 확인하였다. · 연구방법: 스마트러닝 기반 수업설계는 스마트러닝을 위해 제안된 교수·학습전략과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해 제안된 자기주도학습전략 및 스마트러닝 기반 협력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문제해결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수업 전후 검사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t검정을 실행하였다. · 연구결과: 관련 교수학습전략을 통합하여 스마트러닝 기반 체육교과 문제해결학습을 설계하였고, 문제해결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향상되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체육교과에서 스마트러닝관련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한 전략, 원리 및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설계·적용하고 문제해결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측면에서 그 효과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로 새로운 측정도구 활용, 자기주도학습 하위 구성 요소별 영향력 및 새로운 기술과 접목된 교사전문성으로 TAPCK 연구를 제안하였다. · Research topics: We tried to explore changes in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smart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 Research background: The application of smart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and the use of AI and edutech in sports are global trend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strategies for smart learning were confirmed. · Research method: Smart learning-based instructional design was developed using integrated strategies. Test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class to confirm and a t-test was performed for data analysis. · Research results: Smart learning-based physical education problem-solving learning was designed by integrating strategies, and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were improved.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e study proposes fexploring teacher expertise integrated with new technologies through TAPCK research.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09207
ISSN:2288-8861
2671-5376
DOI:10.22924/jhss.33.2.20250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