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의 공직가치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와 업무자율성의 조절효과

· 연구 주제: 본 논문에서는 공무원의 공직가치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며, 조직시민행동이 두 변수를 매개하는 역할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조절변수로서의 업무자율성이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지를 확인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 연구 배경: 기존 연구에서의 공직가치의 역할을 확인하며, 이를 통해 공무원들의 혁신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업무자율성의 조절효과가 가져오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문사회과학연구, 33(2) pp. 75 - 98
Main Author 김응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05.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 연구 주제: 본 논문에서는 공무원의 공직가치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며, 조직시민행동이 두 변수를 매개하는 역할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조절변수로서의 업무자율성이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지를 확인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 연구 배경: 기존 연구에서의 공직가치의 역할을 확인하며, 이를 통해 공무원들의 혁신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업무자율성의 조절효과가 가져오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확인했던 공직가치와 혁신행동 사이의 정(+)의 관계를 확인하고, 매개변수로서 조직시민행동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관계를 업무자율성의 긍정적인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 연구방법: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실시한 ‘2023년 공직생활실태조사’에서 6,444명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SPSS v.2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무원에 대한 인구통계학적특성,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 연구결과: 공직가치는 혁신행동과 정(+)의 관계를 보였으며, 조직시민행동은 매개변수로 공직가치와 혁신행동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또한 업무자율성은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사이의 긍정적인 관계를 강화하였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공무원들이 자신들의 조직의 공직가치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실행할 때에 자발적인 행동인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절변수로서 업무자율성의 역할 검증을 통해서 공무원들의 업무자율성의 긍정적인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기대효과가 있다. · Research topics: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public service value on innovative behavior and confirms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etween these variables. Furthermore, the paper also examines the role of job autonomy as a moderating variable which strengthen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 Research background: There is a need to confirm the role of public service value in current exsiting research and how this variable can lead to innovative behavior. Moreover,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positive effect of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This study confirms the postive relationship bewteen public service value and innovative behavior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and confirms the role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a mediator. In addition,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this study confirms the role of job autonomy as a positive moderator. ·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uses 6,444 public employees and analyze the data using SPSS v.23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by us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ublic service value was postively related to innovative beahvi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value and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job autonomy strengthened the postiv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paper found that when public employees accurately judge and implement their organization’s public service value, it can lead to voluntar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Furthermore, we confirmed that the postive role of public employees’ job autonomy as a moderator.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09206
ISSN:2288-8861
2671-5376
DOI:10.22924/jhss.33.2.202505.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