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소규모주택 정비사업 사례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 연구 주제: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시행이후,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의 사례지 중심으로 개발특성을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 위한 제도 개선을 모색한다. · 연구 배경: 우리나라는 고령화·저출산 시대로 전환되고 있고, 지속적인 고금리 등으로 인해 도시 외곽의 대규모 개발수요는 감소하고 있다.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에 대한 제도의 시행은 8년 정도로 현 미흡한 제도 부분을 수정보완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이 도래되었고, 사례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법률 시행이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문사회과학연구, 33(2) pp. 155 - 177
Main Authors 류경수, 성창엽, 배주은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05.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 연구 주제: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시행이후,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의 사례지 중심으로 개발특성을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 위한 제도 개선을 모색한다. · 연구 배경: 우리나라는 고령화·저출산 시대로 전환되고 있고, 지속적인 고금리 등으로 인해 도시 외곽의 대규모 개발수요는 감소하고 있다.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에 대한 제도의 시행은 8년 정도로 현 미흡한 제도 부분을 수정보완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이 도래되었고, 사례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법률 시행이후 사례지를 중심으로 토지이용과 개발 특성을 분석하여 소규모주택 정비사업 활성화에 대한 제도 개선으로 첫째, 자율주택정비사업과 가로주택정비사업에 대한 토지이용 및 개발 특성을 분석한 점, 둘째, 대전의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각적인 제도 개선을 제시한 점에서 차별되고 있다. · 연구방법: 소규모주택정비법에 대한 문헌조사와 선행연구로 이론 부분을 고찰하였고, 대전시 사례지의 검토와 분석으로 한계점을 도출하고, 정비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 제시 등 사례 중심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 연구결과: 대전의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서 나타난 문제점은 기반시설 부족, 담당인력 부족, 낮은 이해도와 전문지식의 부족, 노후한 주택의 개선의지 부족 등이 있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지자체에서 다양한 지원시스템 마련, 비과세 혜택 또는 세금 감면 특례조항, 공공기관 매입약정, 기반시설 확보를 위한 사업부지의 면적기준 완화 등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소규모주택 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대전의 사례중심으로 개발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법률에 누락된 세금 감면에 대한 특례 조항과 공공기관 매입약정 등 실질적인 제도 운영에 대한 문제점 도출과 이에 대한 제도적 개선, 행정 지원, 기반시설 확보 문제 해결 등에 대해서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 Research topics: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Special Act on the Maintenance of Vacant Houses and Small-scale Housing, we analyze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centered on case studies of small-scale housing maintenance projects and seek institutional improvements for revitalization measures. · Research background: Our country is transitioning into an aging and low birth rate era, and the demand for large-scale development on the outskirts of cities is decreasing due to continued high interest rates.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for small-scale housing maintenance projects has been in place for about eight years, so it is time to seek ways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current inadequate parts of the system, and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revitalize it through case analysi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law, the land use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ased on case studie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were made to revitalize small-scale housing maintenance projects. First, the land use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autonomous housing maintenance projects and street housing maintenance projects were analyzed, and second, diverse institutional improvements were presented to revitalize small-scale housing maintenance projects in Daejeon. · Research method: The theoretical aspects of small-scale housing maintenance projects were examined through legal and literature reviews and prior research, while at the same time, limitations were derived through case analysis of actual project sites being promoted in Daejeon City, and a case-centered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ways to improve and revitalize the identified limitations. · Research results: The problems revealed through case analysis of small-scale housing maintenance projects in Daejeon include lack of infrastructure, lack of personnel in charge, low level of understanding and lack of expertise, and lack of will to improve old housing. As measures to improve these,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to vitalize the project, such as establishment of various support systems by local governments, tax-free benefits or tax reduction special provisions, purchase agreements with public institutions, and relaxation of area standards for project sites to secure infrastructure.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centered on the case of Daejeon for the revitalization of small-scale housing maintenance projects, we identified special provisions for tax reductions omitted from the law and problems with the actual operation of the system, such as public institution purchase agreements, and presented comprehensive and multifaceted measure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administrative support, and resolving issues with securing infrastructure.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09209
ISSN:2288-8861
2671-5376
DOI:10.22924/jhss.33.2.202505.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