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을 바라보는 두 시선 : 국내 포털사이트 뉴스 기사 및 블로그 콘텐츠 비교 분석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국내 포털사이트 뉴스 기사와 블로그 콘텐츠 비교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브라질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고찰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둔다. · 연구 배경: 브라질은 인구·영토 면에서 세계적 규모를 지닌 국가이자 BRICS 회원국으로서 국제사회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한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축구나 범죄 등 일부 편협한 이미지로 소비되는 경향이 있어, 다양한 매체를 통해 형성되는 브라질 인식을 다각도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기존에는 언론 기사나 국가이미지 연구가 중심이었으나, 본 연구...
Saved in:
Published in | 인문사회과학연구, 33(2) pp. 131 - 15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05.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국내 포털사이트 뉴스 기사와 블로그 콘텐츠 비교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브라질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고찰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둔다.
· 연구 배경: 브라질은 인구·영토 면에서 세계적 규모를 지닌 국가이자 BRICS 회원국으로서 국제사회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한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축구나 범죄 등 일부 편협한 이미지로 소비되는 경향이 있어, 다양한 매체를 통해 형성되는 브라질 인식을 다각도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기존에는 언론 기사나 국가이미지 연구가 중심이었으나, 본 연구는 블로그와 같은 개인 미디어까지 포괄해 비교 분석함으로써 브라질 관련 담론의 복합적 양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2021년 12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네이버에서 ‘브라질’을 키워드로 수집된 뉴스 기사(904건)와 블로그 글(990건)을 텍스톰(Textom)을 활용하여 전처리한 뒤, TF-IDF, 중심성 분석, N-gram 등을 적용하였다.
· 연구결과: 뉴스 기사에서는 주로 정치·경제·스포츠 등 거시적 이슈가 강조되었으며, 블로그 글에서는 음식·여행·개인 체험을 중심으로 브라질이 친숙하게 재현되었다. 이를 통해 브라질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이 매체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층위를 형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본 연구는 전통 미디어와 개인 미디어를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국가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층적 요인을 구체적으로 밝힌다. 이를 바탕으로 브라질 관련 정보 제공 및 문화 교류 전략 수립 시 보다 균형 잡힌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Research topic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Brazil is viewed in Korean society by comparing news articles and blog posts published on Naver, the country’s largest portal site.
· Research background: Although Brazil is a BRICS member and one of the world’s largest nations by population and landmass, Korean coverage often reduces it to a handful of familiar story lines—most commonly soccer highlights or crime reports—underscoring the need for a broader examination of Brazil-related discourse.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mainly on mainstream news or general national-image questions. This project widens the lens by adding user-generated blog content, allowing a closer look at the everyday, experiential layer of Brazil’s image in Korea.
· Research method: Using the Textom platform, we collected 904 news articles and 990 blog entries posted between December 2021 and November 2024. After standard preprocessing, we applied TF-IDF weighting, network-based centrality metrics, and N-gram analysis to identify prominent themes and phrase patterns.
· Research results: By examining both traditional and individual media, this study clarifies the multi-layered factors that shape Brazil’s national image in Korea. The results can guide more balanced approaches in information dissemination and cultural exchange initiatives involving Brazil.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09208 |
ISSN: | 2288-8861 2671-5376 |
DOI: | 10.22924/jhss.33.2.202505.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