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평생교육기관 학습공간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 연구 주제: 공공 평생교육기관의 학습공간 조성 상황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에 대응해 나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공간의 기능과 역할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 연구 배경: 평생학습의 본질을 구현하는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학습공간 구성에 대한 평생교육 현장 실천 사례 분석을 통한 방향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학습공간에 대한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공간의 재구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평생학습 공간의 변화와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 연구방법: 2년 이상 공...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문사회과학연구, 33(2) pp. 529 - 548
Main Author 이아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05.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 연구 주제: 공공 평생교육기관의 학습공간 조성 상황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에 대응해 나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공간의 기능과 역할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 연구 배경: 평생학습의 본질을 구현하는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학습공간 구성에 대한 평생교육 현장 실천 사례 분석을 통한 방향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학습공간에 대한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공간의 재구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평생학습 공간의 변화와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 연구방법: 2년 이상 공공 평생교육기관 경험을 가진 성인학습자 7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참여관찰 및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주제분석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학습자들은 새로운 학습공간 조성 환경 속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 친화적 학습공간을 재구성하고 공간의 역할을 형성하고 나갔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은 학습공간에 대해 ‘환대의 분위기로 채워지는 새로배움×서로배움의 장’, ‘모두를 위한 공공의 거실’, ‘느슨한 연대로 연결된 공동체적 상호돌봄의 장’으로서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평생교육 학습공간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대응으로서 학습자 중심 학습공간 구성 및 공간 운영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Research topic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learning space development in public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nd to explore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se learning spaces as they emerge through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that development. · Research background: There is a growing need to explore new directions by analyzing practical cases from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learner-centered learning spaces that embody the essence of lifelong learning.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While previous research on learning spaces has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reconfiguration of school spaces for school-aged children, studies addressing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lifelong learning spaces remain insufficient. · Research method: A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seven adult learners who had more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at a public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echniques. · Research results: In the context of newly created learning spaces, learners sought and implemented alternatives to address emerging challenges, thereby reconstructing learner-friendly learning spaces and shaping the roles of these spaces. Based on these experiences, learners began to ascribe meaning to these spaces as ‘a place of new and mutual learning filled with a sense of hospitality’, ‘a public living room for all’, and ‘a space of mutual care connected through loose ties of solidarity’.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study recognized the need for change in lifelong education learning space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the constructing and operating of learner-friendly learning spaces in response.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09277
ISSN:2288-8861
2671-5376
DOI:10.22924/jhss.33.2.202505.022